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닷컴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2022년 2회 건설안전기사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건설안전기사 시험과목은 " 산업안전관리론, 산업심리 및 교육,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건설시공학, 건설재료학, 건설안전기술 "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22년 2회 건설안전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22년 2회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관리론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에 관한 사항으로 ()에 알맞은 기준은?
①
7
②
14
③
30
④
60
정답 : ③ 30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를 2인 이상 선임하여야 하는 사업이 아닌 것은? (단, 기타 법령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①
상시 근로자가 500명인 통신업
②
상시 근로자가 700명인 발전업
③
상시 근로자가 600명인 식료품 제조업
④
공사금액이 1000억이며 공사 진행률(공정률) 20%인 건설업
정답 : ① 상시 근로자가 500명인 통신업
3.
산업재해보상시험법령상 보험급여의 종류를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ㄹ
②
ㄱ, ㄴ, ㄷ, ㅁ
③
ㄱ, ㄷ, ㄹ, ㅁ
④
ㄴ, ㄷ, ㄹ, ㅁ
정답 : ② ㄱ, ㄴ, ㄷ, ㅁ
4.
안전관리조직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라인형 조직은 100명 이상의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②
스태프형 조직은 100명 이상의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③
라인형 조직은 안전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지만 안전지시나 조치에 대한 실시가 신속하다.
④
라인ㆍ스태프형 조직은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나 조직원 전원의 자율적 참여가 불가능하다.
정답 : ③ 라인형 조직은 안전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지만 안전지시나 조치에 대한 실시가 신속하다.
5.
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선정에 관한 사항 중 기술적 대책(Engineering)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작업행정의 개선
②
환경설비의 개선
③
점검 보존의 확립
④
안전 수칙의 준수
정답 : ④ 안전 수칙의 준수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ㆍ의결을 거쳐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①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②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③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④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정답 : ③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채를 파란색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는?
①
주의표지
②
정지신호
③
차량 통행표지
④
특정 행위의 지시
정답 : ④ 특정 행위의 지시
8.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안전등급별 정기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시기에 관한 사항으로 ()에 알맞은 기준은?
①
ㄱ : 반기, ㄴ : 4년
②
ㄱ : 반기, ㄴ : 6년
③
ㄱ : 1년, ㄴ : 4년
④
ㄱ : 1년, ㄴ : 6년
정답 : ② ㄱ : 반기, ㄴ : 6년
9.
다음의 재해사례에서 기인물과 가해물은?
①
기인물 : 자재, 가해물 : 바닥
②
기인물 : 자재, 가해물 ; 자재
③
기인물 : 바닥, 가해물 : 바닥
④
기인물 : 바닥, 가해물 : 자재
정답 : ① 기인물 : 자재, 가해물 : 바닥
10.
산업재해통계업무처리규정상 산업재해통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총요양근로손실일수는 재해자의 총 요양기간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②
휴업재해자수는 근로복지공단의 휴업급여를 지급받은 재해자수를 의미하여, 체육행사로 인하여 발생한 재해는 제외된다.
③
사망자수는 통상의 출퇴근에 의한 사망을 포함하여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가 지급된 사망자수를 말한다.
④
재해자수는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가 지급된 사망자 및 근로복지공단에 최초요양신청서를 제출한 재해자 중 요양승인을 받은 자를 말한다.
정답 : ③ 사망자수는 통상의 출퇴근에 의한 사망을 포함하여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가 지급된 사망자수를 말한다.
11.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상 건설업 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ㄴ, ㄷ, ㄹ
②
ㄱ, ㄴ, ㄹ, ㅁ
③
ㄱ, ㄷ, ㄹ, ㅁ
④
ㄱ, ㄴ, ㄷ, ㅁ
정답 : ② ㄱ, ㄴ, ㄹ, ㅁ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위험예지훈련 단계는?
①
현상파악
②
본질추구
③
대책수립
④
목표설정
정답 : ② 본질추구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대상 기계가 아닌 것은?
①
리프트
②
압력용기
③
컨베이어
④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정답 : ④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가 기록ㆍ보존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단, 산업재해조사표와 요양신청서의 사본은 보존하지 않았다.
①
사업장의 개요
②
근로자의 인적사항
③
재해 재발장치 계획
④
안전관리자 선임에 관한 사랑
정답 : ④ 안전관리자 선임에 관한 사랑
15.
A 사업장의 상시근로자수가 1200명이다. 이 사업장의 도수율이 10.5이고 강도율이 7.5일 때 이 사업장의 총 요양근로손실일수(일)는? (단, 연근로시간수는 2400시간이다.)
①
21.6
②
216
③
2160
④
21600
정답 : ④ 21600
16.
산업재해의 기본원인으로 볼 수 있는 4M으로 옳은 것은?
①
Man, Machine, Maker, Media
②
Man, Management, Machine, Media
③
Man, Machine, Maker, Management
④
Man, Management, Machine, Material
정답 : ② Man, Management, Machine, Media
17.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상 안전대 충격흡수장치의 동하중 시험성능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에 알맞은 기준은?
①
ㄱ : 6.0, ㄴ : 1000
②
ㄱ : 6.0, ㄴ : 2000
③
ㄱ : 8.0, ㄴ : 1000
④
ㄱ : 8.0, ㄴ : 2000
정답 : ① ㄱ : 6.0, ㄴ : 1000
1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공기압축기 가동 전 점검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그 밖에 사항은 제외한다.)
①
ㄷ, ㄹ
②
ㄱ, ㄴ,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ㄴ, ㄷ, ㄹ
정답 : ④ ㄱ, ㄴ, ㄷ, ㄹ
19.
버드(Bird)의 재해구성비율 이론상 경상이 10건 일 때 중상에 해당하는 사고 건수는?
①
1
②
30
③
300
④
600
정답 : ① 1
20.
재해의 원인 중 불안전한 상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위험장소 접근
②
작업환경의 결함
③
방호장치의 결함
④
물적 자체의 결함
정답 : ① 위험장소 접근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적응기제 중 방어적 기제에 해당하는 것은?
①
고립(isolation)
②
억압(repression)
③
합리화(rationalization)
④
백일몽(day-dreaming)
정답 : ③ 합리화(rationalization)
22.
알고 있는 지식을 심화시키거나 어떠한 자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생각을 갖도록 하는 경우 실시하는 교육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구안법
②
강의법
③
토의법
④
실연법
정답 : ③ 토의법
23.
조직이 리더(leader)에게 부여하는 권한으로 부하직원의 처벌, 임금 삭감을 할 수 있는 권한은?
①
강압적 권한
②
보상적 권한
③
합법적 권한
④
전문성의 권한
정답 : ① 강압적 권한
24.
운동에 대한 착각현상이 아닌 것은?
①
자동운동
②
항상운동
③
유도운동
④
가현운동
정답 : ② 항상운동
25.
자동차 엑셀레이터와 브레이크 간 간격, 브레이크 폭, 소프트웨어 상에서 메뉴나 버튼의 크기 등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인간공학 법칙은?
①
Fitts의 법칙
②
Hick의 법칙
③
Weber의 법칙
④
양립성 법칙
정답 : ① Fitts의 법칙
26.
개인적 카운슬링(Counseling)의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설득적 방법
②
설명적 방법
③
강요적 방법
④
직접적인 충고
정답 : ③ 강요적 방법
2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중 특별교육 대상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굴착면의 높이가 5m되는 지반 굴착작업
②
콘크리트 파쇄기를 사용하여 5m의 구축물을 파쇄하는 작업
③
흙막이 지보공의 보강 또는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④
휴대용 목재가공기계를 3대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정답 : ④ 휴대용 목재가공기계를 3대 보유한 사업장에서 해당 기계로 하는 작업
28.
학습지도의 원리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감각의 원리
②
통합의 원리
③
자발성의 원리
④
사회화의 원리
정답 : ① 감각의 원리
29.
메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중 안전욕구에 해당하는 단계는?
①
1단계
②
2단계
③
3단계
④
4단계
정답 : ② 2단계
30.
생체리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감각의 리듬이 (-)로 최대가 되는 경우에만 위험일이라고 한다.
②
육체적 리듬은 \"P\"로 나타내며, 23일을 주기로 반복된다.
③
감성적 리듬은 \"S\"로 나타내며, 28일을 주기로 반복된다.
④
지성적 리듬은 \"I\"로 나타내며, 33일을 주기로 반복된다.
정답 : ① 감각의 리듬이 (-)로 최대가 되는 경우에만 위험일이라고 한다.
31.
에너지대사율(RMR)의 따른 작업의 분류에 따라 중(보통)작업의 RMR 범위는?
①
0~2
②
0~4
③
4~7
④
7~9
정답 : ② 0~4
32.
조직 구성원의 태도는 조직성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태도(attitude)의 3가지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인지적 요소
②
정서적 요소
③
성격적 요소
④
행동경향 요소
정답 : ③ 성격적 요소
33.
다음에서 설명하는 학습방법은?
①
롤 플레잉(Role Playing)
②
문제법(Problem Method)
③
버즈 세션(Buzz Session)
④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정답 : ② 문제법(Problem Method)
34.
호손(Hawthorne) 실험의 결과 작업자의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①
작업조건
②
인간관계
③
생산기술
④
행동규범의 설정
정답 : ② 인간관계
35.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실제로 적절히, 정확히 측정하는지의 여부를 반펼하는 것은?
①
표준화
②
신뢰성
③
객관성
④
타당성
정답 : ④ 타당성
36.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평가 4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학습단계→반응단계→행동단계→결과단계
②
학습단계→행동단계→반응단계→결과단계
③
반응단계→학습단계→행동단계→결과단계
④
반응단계→학습단계→결과단계→행동단계
정답 : ③ 반응단계→학습단계→행동단계→결과단계
37.
사고 경향성 이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사고를 많이 내는 여러 명의 특성을 측정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②
개인의 성격보다는 특정 환경에 의해 훨씬 더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
③
어떠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사고를 더 잘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④
사고경향성을 검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다른 두 시기 동안에 같은 사람의 사고기록을 비교하는 것이다.
정답 : ② 개인의 성격보다는 특정 환경에 의해 훨씬 더 사고가 일어나기 쉽다.
38.
Off JT(Off the Job Training)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전문 강사를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②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③
직장의 실정에 맟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④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정답 : ① 전문 강사를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39.
직무분석을 위한 정보를 얻는 방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관찰법
②
직무수행법
③
설문지법
④
서류함기법
정답 : ④ 서류함기법
4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타워크레인 신호작업에 종사하는 일용근로자의 특별교육 교육시간 기준은?
①
1시간 이상
②
2시간 이상
③
4시간 이상
④
8시간 이상
정답 : ④ 8시간 이상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A작업의 평균에너지소비량이 다음과 같을 때, 60분간의 총 작업시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휴식시간(분)은?
①
10.3
②
11.3
③
12.3
④
13.3
정답 : ④ 13.3
42.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인간-기계 시스템의 안전성, 편리성, 효율성을 높인다.
②
인간을 작업과 기계에 맞추는 설계 철학이 바탕이 된다.
③
인간이 사용하는 물건, 설비, 환경의 설계에 적용된다.
④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인 면에서의 특성이나 함계점을 고려한다.
정답 : ② 인간을 작업과 기계에 맞추는 설계 철학이 바탕이 된다.
43.
근골격계질환 작업분석 및 평가 방법인 OWAS의 평가요소를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ㄷ,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
정답 : ④ ㄱ, ㄴ, ㄷ, ㄹ
44.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갈 때 망막에 시흥이 형성되는 생리적 과정인 암조응이 발생하는데 완전 암조응(Dark adaptation)이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①
약 3~5분
②
약 10~15분
③
약 30~40분
④
약 60~90분
정답 : ③ 약 30~40분
45.
FTA(Fault Tree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정성적 분석만 가능하다.
②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 및 안정성 분석에 이용되는 기법이다.
③
FT에 동일한 사건이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 상향식(Bottom-up)으로 정상 사건 T의 발생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④
기초사건과 생략사건의 확률 값이 주어지게 되더라도 정상 사건의 최종적인 발생확률을 계산할 수 없다.
정답 : ②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 및 안정성 분석에 이용되는 기법이다.
46.
불(Bool) 대수의 정리를 나타낸 관계식 중 틀린 것은?
①
Aㆍ0=0
②
A+1=1
③
④
A(A+B)=A
정답 : ③ 
47.
FTA(Fault Tree Analysis)에서 사용되는 사상 기호 중 통상의 작업이나 기계의 상태에서 재해의 발생 원인이 되는 요소가 있는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④ 
48.
HAZOP 기법에서 사용하는 가이드워드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①
Part of : 성질상의 감소
②
As well as : 성질상의 증가
③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④
More/Less :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정답 : ③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49.
다음 중 좌식작업이 가장 적합한 작업은?
①
정밀 조립 작업
②
4.5kg 이상의 중량물을 다루는 작업
③
작업장이 서로 떨어져 있으며 작업장 간 이동이 작은 작업
④
작업자의 정면에서 매우 높거나 낮은 곳으로 손을 자주 뻗어야 하는 작업
정답 : ① 정밀 조립 작업
50.
양식 양립성의 예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자동차 설계 시 고도계 높낮이 표시
②
방사능 사업장에 방사능 폐기물 표시
③
청각적 자극 제시와 이에 대한 음성 응답
④
자동차 설계 시 제어장치와 표시장치의 배열
정답 : ③ 청각적 자극 제시와 이에 대한 음성 응답
51.
시스템의 수명곡선(욕조곡선)에 있어서 디버깅(Debugg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초기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②
우발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③
마모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④
기계결함을 발견하기 위해 동작시험을 하는 기간이다.
정답 : ① 초기 고장의 결함을 찾아 고장률을 안정시키는 과정이다.
52.
I sone에 관한 설명으로 ()에 알맞은 수치는?
①
ㄱ : 1000, ㄴ : 1
②
ㄱ : 4000, ㄴ : 1
③
ㄱ : 1000, ㄴ : 40
④
ㄱ : 4000, ㄴ : 40
정답 : ③ ㄱ : 1000, ㄴ : 40
53.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으로 틀린 것은?
①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②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③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④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
정답 : ④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
54.
인간-기계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동 시스템에서는 인간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②
자동차 운전이나 전기 드릴 작업은 반자동 시스템의 예시이다.
③
자동 시스템에서 인간은 감시, 정비유지, 프로그램 등의 작업을 담당한다.
④
수동 시스템에서 기계는 동력원을 제공하고 인간의 통제 하에서 제품을 생산한다.
정답 : ④ 수동 시스템에서 기계는 동력원을 제공하고 인간의 통제 하에서 제품을 생산한다.
55.
n개의 요소를 가진 병렬 시스템에 있어 요소의 수명(MTTF)이 지수 분포를 따를 경우, 이 시스템의 수명으로 옳은 것은?
①
MTTF×n
②
③
④
정답 : ③ 
56.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①
위험성 결정
②
위험성 평가
③
위험반도 추정
④
유해ㆍ위험요인 파악
정답 : ② 위험성 평가
57.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목표를 잘못 설정하여 발생하는 인간의 오류 유형은?
①
실수(Slip)
②
착오(Mistake)
③
위반(Vioation)
④
건망증(Lapse)
정답 : ② 착오(Mistake)
58.
위험분석 기법 중 시스템 수명주기 관점에서 적용 시점이 가장 빠른 것은?
①
PHA
②
FHA
③
OHA
④
SHA
정답 : ① PHA
59.
태양광선이 내리쬐는 옥외장소의 자연습구 온도 20℃, 흑구온도 18℃, 건구온도 30℃일 때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①
20.6℃
②
22.5℃
③
25.0℃
④
28.5℃
정답 : ① 20.6℃
60.
그림과 같은 FT도에 대한 최소 컷셋(minmal cut sets)으로 옳은 것은? (단, Fussell의 알고리즘을 따른다.)
①
{1, 2}
②
{1, 3}
③
{2, 3}
④
{1, 2, 3}
정답 : ② {1, 3}
건설시공학
61.
통상적으로 스팬이 큰 보 및 바닥판의 거푸집을 걸때에 스팬의 캠버(camber)값으로 옳은 것은?
①
1/300~1/500
②
1/200~1/350
③
1/150~/1250
④
1/100~1/300
정답 : ① 1/300~1/500
62.
지반개량 공법 중 동다짐(dynamic compaction)공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공 시 지반징동에 의한 공해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②
지반 내에 암괴 등의 장애물이 있으면 적용이 불가능하다.
③
특별한 약품이나 자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④
깊은 심도의 지반개량에 대해서는 초대형 장비가 필요하다.
정답 : ② 지반 내에 암괴 등의 장애물이 있으면 적용이 불가능하다.
63.
기성콘크리트 말뚝에 표기된 PHC-Aㆍ450-12의 각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PHC-원심력 고강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말뚝
②
A-A종
③
450-말뚝바깥지름
④
12-말뚝삽입 간격
정답 : ④ 12-말뚝삽입 간격
64.
흙막이 공법과 관련된 내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버팀대공법-띠장, 지지말뚝
②
지하연속법-안정액, 트레미관
③
자립식공법-안내벽, 인터록킹 파이프
④
어스앵커공법-인장재, 그라우팅
정답 : ③ 자립식공법-안내벽, 인터록킹 파이프
65.
흙막이 공법 중 지하연속벽(slurry wall)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흙막이벽 자체의 강도,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연약지반의 변형 및 이면침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②
차수성이 좋아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도 사용할 수 있다.
③
시공 시 소음, 진동이 작다.
④
다른 흙막이벽에 비해 공사비가 적게 든다.
정답 : ④ 다른 흙막이벽에 비해 공사비가 적게 든다.
66.
건축물의 지하공사에서 계측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계측관리의 목적은 위험의 징후를 발견하는 것이다.
②
계측관리의 중점관리사항으로는 흙막이 변위에 따른 배면지반의 침하가 있다.
③
계측관리는 인적이 뜸하고 위험이 적은 안전한 곳에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④
일일점검항목으로는 흙막이벽체, 주변지반, 지하수위 및 배수량 등이 있다.
정답 : ③ 계측관리는 인적이 뜸하고 위험이 적은 안전한 곳에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67.
벽걸이 10m, 벽높이 3.6m인 블록벽체를 기본블록(390mm×190mm×150mm)으로 쌓을 때 소요되는 블록의 수량은? (단, 블록은 온장으로 고려하고, 줄눈 나비는 가로, 세로 10mm, 할증은 고려하지 않음)
①
412매
②
468매
③
562매
④
598매
정답 : ② 468매
68.
외관 검사 결과 불합격된 철근 가스압접 이음부의 조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심하게 구부러졌을 때는 재가열하여 수정한다.
②
압점면의 엇갈림이 규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재가열하여 수정한다.
③
형태가 심하게 불량하거나 또는 압접부에 유해하다고 인정되는 결함이 생긴 경우는 압접부를 잘라내고 재압접한다.
④
철근중심축의 편심량이 규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압접부를 떼어내고 재압접한다.
정답 : ② 압점면의 엇갈림이 규정값을 초과했을 때는 재가열하여 수정한다.
69.
철골부재조립 시 구멍의 위치가 다소 다를 때 구멍을 맞추기 위한 작업은?
①
송곳뚫기(driling)
②
리이밍(reaming)
③
펀칭(punching)
④
리벳치기(riveting)
정답 : ② 리이밍(reaming)
70.
철골작업용 장비 중 절단용 장비로 옳은 것은?
①
프릭션 프레스(frixtion press)
②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롤(plate straining roll)
③
파워 프레스(power press)
④
핵 소우(hack saw)
정답 : ④ 핵 소우(hack saw)
71.
시방서 및 설계도면 등이 서로 상이할 때의 우선순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가 상이할 때는 설계도면을 우선한다.
②
설계도면과 내역서가 상이할 때는 설계도면을 우선한다.
③
표준시방서와 전분시방서가 상이할 때는 전문시방서를 우선한다.
④
설계도면과 상세도면이 상이할 때는 상세도면을 우선한다.
정답 : ①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가 상이할 때는 설계도면을 우선한다.
72.
예정가격범위 내에서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낙찰자 선정 방식은?
①
최적격 낙찰제
②
제한적 최저가 낙찰제
③
최저가 낙찰제
④
적격 심사 낙찰제
정답 : ③ 최저가 낙찰제
73.
설계도와 시방서가 명확하지 않거나 설계는 명확하지만 공사비 총액을 산출하기 곤란하고 발주자가 양질의 공사를 기대할 때 채택될 수 있는 가장 타당한 도급방식은?
①
실비정산 보수가산식 도급
②
단가 도급
③
정액 도급
④
턴키 도급
정답 : ① 실비정산 보수가산식 도급
74.
철근공사에 대하여 옳지 않은 것은?
①
조립용 철근은 철근을 구부리기할 때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쓰는 보조적인 철근이다.
②
철근의 용접부에 순간최대풍속 2.7m/s 이상의 바람이 불 때는 철근을 용접할 수 없으며, 풍속을 2.7m/s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방풍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만 용접할 수 있다.
③
가스압점이음은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 등을 사용하여 가열하고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용접한 맞대이음을 말한다.
④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없다. 다만, 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을 압축부에서 겹침이음하는 경우 D35 이하의 철근과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있다.
정답 : ① 조립용 철근은 철근을 구부리기할 때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쓰는 보조적인 철근이다.
75.
철골공사의 용접접합에서 플럭스(flux)를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용접 시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②
압연강판의 층 사이에 균열이 생기는 현상
③
용접작업의 종단부에 임시로 붙이는 보조판
④
용접부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
정답 : ① 용접 시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76.
착공단계에서의 공사계획을 수립할 때 우선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현장 직원의 조직편성
②
예정 공정표의 작성
③
유지관리지침서의 변경
④
실행예산편성
정답 : ③ 유지관리지침서의 변경
77.
AE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기량은 기계비빔이 손비빔의 경우보다 적다.
②
공기량은 비벼놓은 시간이 길수록 증가한다.
③
공기량은 AE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나 콘크리트의 강도는 증대한다.
④
시공연도가 증진되고 재료분리 및 블리딩이 감소한다.
정답 : ④ 시공연도가 증진되고 재료분리 및 블리딩이 감소한다.
78.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와 관계가 적은 것은?
①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②
시멘트의 강도를 크게 한다.
③
폴리머(polymer)를 함침(含浸)한다.
④
골재의 입자분포를 가능한 한 균일 입자분포로 한다.
정답 : ④ 골재의 입자분포를 가능한 한 균일 입자분포로 한다.
79.
벽돌쌓기법 중에서 마구리를 세워 쌓는 방식으로 옳은 것은?
①
옆세워 쌓기
②
허튼 쌓기
③
영롱 쌓기
④
길이 쌓기
정답 : ① 옆세워 쌓기
80.
바닥판 거푸집의 구조계산 시 고려해야하는 연직하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작업하중
②
충격하중
③
고정하중
④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
정답 : ④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
건설재료학
81.
플라이애시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수화할 때 불용성 규산칼슘 수화물을 생성한다.
②
화력발전소 등에서 완전 연소한 미분탄의 회분과 포틀랜드시멘트를 혼합한 것이다.
③
재령 1~2시간 안에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0MPa에 도달할 수 있다.
④
용광로의 선철제작 부산물을 급랭시키고 파쇄하여 시멘트와 혼합한 것이다.
정답 : ② 화력발전소 등에서 완전 연소한 미분탄의 회분과 포틀랜드시멘트를 혼합한 것이다.
82.
건축용 접착제로서 요구되는 성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진동, 충격의 반복에 잘 견딜 것
②
취급이 용이하고 독성이 없을 것
③
장기부하에 의한 크리프가 클 것
④
고화 시 체적수축 등에 의한 내부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 : ③ 장기부하에 의한 크리프가 클 것
83.
골재의 함수상태에서 유효흡수량의 정의로 옳은 것은?
①
습윤상태와 절대건조상태의 수량의 차이
②
표면건조포화상태와 기건상태의 수량의 차이
③
기건상태와 절대건조상태의 수량의 차이
④
습윤상태와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수량의 차이
정답 : ② 표면건조포화상태와 기건상태의 수량의 차이
84.
도장재료 중 물이 증발하여 수지입자가 굳는 융착건조경화를 하는 것은?
①
알키드수지 도료
②
애폭시수지 도료
③
불소수지 도료
④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정답 : ④ 합성수지 에멀션 페인트
85.
목재의 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재 섬유 평행방향에 대한 인장강도가 다른 여러 강도 중 가장 크다.
②
목재의 압축강도는 옹이가 있으면 증가한다.
③
목재를 흼부재로 사용하여 외력에 저항할 때는 압축, 인장, 전단력이 동시에 일어난다.
④
목재의 전단강도는 섬유간의 부착력, 섬유의 곧음, 수선의 유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 ② 목재의 압축강도는 옹이가 있으면 증가한다.
86.
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단판을 섬유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홀수로 적층 하면서 접착시켜 합친 판을 말한다.
②
함수율 변화에 따라 팽창ㆍ수축의 방향성이 없다.
③
뒤틀림이나 변형이 적은 비교적 큰 면적의 평면 재료를 얻을 수 있다.
④
균일한 강도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① 단판을 섬유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홀수로 적층 하면서 접착시켜 합친 판을 말한다.
87.
미장바탕의 일반적인 성능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미장층보다 강도가 클 것
②
미장층과 유효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
③
미장층보다 강성이 작을 것
④
미장층의 경화, 건조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
정답 : ③ 미장층보다 강성이 작을 것
88.
절대건조밀도가 2.6g/cm3이고, 단위용적질량이 1750kg/m3인 굵은 골재의 공극률은?
①
30.5%
②
32.7%
③
34.7%
④
36.2%
정답 : ② 32.7%
89.
목재의 내연성 및 방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재의 방화는 목재 표면에 불연소성 피막을 도포 또는 형성시켜 화염의 접근을 방지하는 조치를 한다.
②
방화재로는 방화페인트, 규산나트륨 등이 있다.
③
목재가 열에 닿으면 먼저 수분이 증발하고 160℃ 이상이 되면 소량의 가연성가스가 유출된다.
④
목재는 450℃에서 장시간 가열하면 자연발화 하게 되는데, 이 온도를 화재위험온도라고 한다.
정답 : ④ 목재는 450℃에서 장시간 가열하면 자연발화 하게 되는데, 이 온도를 화재위험온도라고 한다.
90.
금속의 부식방지를 위한 관리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분적으로 녹이 발생하면 즉시 제거할 것
②
큰 변형을 준 것은 가능한 한 풀림하여 사용할 것
③
가능한 한 이종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할 것
④
표면을 평활하고 깨끗이 하며, 가능한 한 건조상태로 유지할 것
정답 : ③ 가능한 한 이종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할 것
91.
다음의 미장재료 중 균열저항성이 가장 큰 것은?
①
회반죽 바름
②
소석고 플라스터
③
경석고 플라스터
④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 : ③ 경석고 플라스터
92.
점토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점토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5배 정도이다.
②
입자의 크기는 보통 2μm 이하의 미립자지만 모래알 정도의 것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③
공극률은 점토의 입자 간에 존재하는 모공용적으로 입자의 형상, 크기에 관계한다.
④
점토입자가 미세하고, 양지의 점토일수록 가소성이 좋으나, 가소성이 너무 클 때는 모래 또는 샤모트를 섞어서 조절한다.
정답 : ① 점토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5배 정도이다.
93.
일반 콘크리트 대비 ALC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량성
②
단열성
③
흡음ㆍ차음성
④
수밀성, 방수성
정답 : ④ 수밀성, 방수성
94.
콘크리트 바탕에 이음새 없는 방수 피막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도료상태의 방수재를 여러번 칠하여 방수막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은?
①
아스팔트 루핑 방수
②
합성고분자 도막 방수
③
시멘트 모르타르 방수
④
규산질 침투성 도포 방수
정답 : ② 합성고분자 도막 방수
95.
열경화성수지가 아닌 것은?
①
페놀수지
②
요소수지
③
아크릴수지
④
멜라민수지
정답 : ③ 아크릴수지
96.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를 휘발성 용제에 녹이고 광물분말 등을 가하여 만든 것으로 방수, 접합부 충전 등에 쓰이는 아스팔트 제품은?
①
아스팔트 코팅(asphalt coating)
②
아스팔트 그라우트(asphalt grout)
③
아스팔트 시멘트(asphalt cement)
④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
정답 : ① 아스팔트 코팅(asphalt coating)
97.
연강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눈을 내고 늘여 철망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옳은 것은?
①
메탈라스(metal lath)
②
와이어메시(wire mesh)
③
인서트(insert)
④
코너비드(comer bead)
정답 : ① 메탈라스(metal lath)
98.
고로슬래그 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철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용광로에서 생기는 광재를 공기중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경화된 것을 파쇄하여 만든다.
②
투수성은 보통골재의 경우보다 작으므로 수밀콘크리트에 적합하다.
③
고로슬래그 쇄석을 활용한 콘크리트는 다른 암석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건조수축이 적다.
④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수율이 크므로 충분히 살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② 투수성은 보통골재의 경우보다 작으므로 수밀콘크리트에 적합하다.
99.
점토제품 중 소성온도가 가장 고온이고 흡수성이 매우 작으며 모자이크 타일, 위생도기 등에 주로 쓰이는 것은?
①
토기
②
도기
③
석기
④
자기
정답 : ④ 자기
100.
목재에 사용되는 크레오소트 오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냄새가 좋아서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②
방부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③
독성이 적다.
④
침투성이 좋아 목재에 깊게 주입된다.
정답 : ① 냄새가 좋아서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건설안전기술
101.
건설업의 공사금액이 850억 원일 경우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관리자의 수로 옳은 것은? (단, 전체 공사기간을 100으로 할 때 공사 전ㆍ후 15에 해당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①
1명 이상
②
2명 이상
③
3명 이상
④
4명 이상
정답 : ② 2명 이상
102.
건설현장에 거푸집동바리 설치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파이프서포트 높이가 4.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2m 이내마다 2개 방향으로 수평 연결재를 설치한다.
②
동바리의 침하 방지를 위해 깔목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을 실시한다.
③
강재와 강재의 접속부는 볼트 또는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한다.
④
강관틀 동바리는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한다.
정답 : ① 파이프서포트 높이가 4.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2m 이내마다 2개 방향으로 수평 연결재를 설치한다.
103.
가설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사는 30°이하로 할 것
②
경사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③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④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때에는 10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 : ② 경사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104.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사용 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증기나 공기를 차단하는 장치를 작업관리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②
해머의 운동에 의하여 증기호스 또는 공기호스와 해머의 접속부가 파손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접속부가 아닌 부위를 선정하여 증기호스 또는 공기호스를 해머에 고정시킨다.
③
항타기나 항발기의 권상장치의 드럼에 권상용 와이어로프가 꼬인 경우에는 와이어로프에 하중을 걸어서는 안된다.
④
항타기나 항발기의 권상장치에 하중을 건 상태로 정지하여 두는 경우에는 쐐기장치 또는 역회전방지용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제동하는 등 확실하게 정지시켜 두어야 한다.
정답 : ① 증기나 공기를 차단하는 장치를 작업관리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105.
가설공사 표준안전 작업지침에 따른 통로발판을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에는 안전난간이나 철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②
작업발판의 최대폭은 1.6m 이내이어야 한다.
③
비계발판의 구조에 따라 최대 적재하중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④
발판을 겹쳐 이음하는 경우 장선 위에서 이음을 하고 겹침길이는 1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④ 발판을 겹쳐 이음하는 경우 장선 위에서 이음을 하고 겹침길이는 1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106.
토사붕괴에 따른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지보공 부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흙막이판
②
말뚝
③
턴버클
④
띠장
정답 : ③ 턴버클
107.
토자붕괴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사 및 기울기 증가
②
성토높이의 증가
③
건설기계 등 하중작용
④
토사중량의 감소
정답 : ④ 토사중량의 감소
108.
이동식 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②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4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③
승강용 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④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②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4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109.
건설용 리프트의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의 수를 증가 시키는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 하는 순간풍속 기준은?
①
초당 15미터 초과
②
초당 25미터 초과
③
초당 35미터 초과
④
초당 45미터 초과
정답 : ③ 초당 35미터 초과
110.
건설작업용 타워크레인의 안전장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권과 방지장치
②
과부하 방지장치
③
비상정지 장치
④
호이스트 스위치
정답 : ④ 호이스트 스위치
111.
달비계에 사용하는 와이어로프의 사용금지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음매가 있는 것
②
열과 전기 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③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④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7% 이상인 것
정답 : ④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7% 이상인 것
112.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은 산업재해보상 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공사 중 총 공사금액이 얼마 이상인 공사에 적용하는가? (단, 전기공사업법,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공사는 제외)
①
4천만원
②
3천만원
③
2천만원
④
1천만원
정답 : ③ 2천만원
113.
가설구조물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결재가 적은 구조로 되기 쉽다.
②
부재 결합이 간략하여 불안전 결합이다.
③
구조물이라는 개념이 확고하여 조립의 정밀도가 높다.
④
사용부재는 과소단면이거나 결함재가 되기 쉽다.
정답 : ③ 구조물이라는 개념이 확고하여 조립의 정밀도가 높다.
114.
거푸집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직접적인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평연결재 사용
②
깔목의 사용
③
콘크리트의 타설
④
말뚝박기
정답 : ① 수평연결재 사용
115.
건설공사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기준일로 옳은 것은?
①
당해공사 착공 1개월 전까지
②
당해공사 착공 15일 전까지
③
당해공사 착공 전날까지
④
당해공사 착공 15일 후까지
정답 : ③ 당해공사 착공 전날까지
116.
건설업 중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상높이가 31m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연면적 30000m2 이상인 건축물 또는 연면적 5000m2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의 건설공사
②
연면적 3000m2 이상의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③
깊이 10m 이상인 굴착공사
④
최대 지간길이가 50m 이상인 다리의 건설공사
정답 : ② 연면적 3000m2 이상의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117.
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에 대한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할 것
②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③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때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껏
④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m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정답 : ③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인 때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껏
118.
철골건립준비를 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상 작업장에서 건립준비 및 기계기구를 배치할 경우에는 낙하물의 위험이 없는 평탄한 장소를 선정하여 정비하여야 한다.
②
건립작업에 다소 지장이 있다하더라도 수목은 제거하거나 이설하여서는 안된다.
③
사용전에 기계기구에 대한 정비 및 보수를 철저히 실시하여야 한다.
④
기계에 부착된 앵카 등 고정장치와 기초구조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정답 : ② 건립작업에 다소 지장이 있다하더라도 수목은 제거하거나 이설하여서는 안된다.
119.
고소작업대를 설치 및 이동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의 안전율은 3 이상일 것
②
붐의 최대 지면경사각을 초과 운전하여 전도되지 않도록 할 것
③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경우 작업대를 가장 낮게 내릴 것
④
작업대에 끼임ㆍ충돌 등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가드 또는 과상승방지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 : ①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의 안전율은 3 이상일 것
120.
터널공사에서 발파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발파전 도화선 연결상태, 저항치 조사 등의 목적으로 도통시험 실시 및 발파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사전점검 실시
②
모든 동력선은 발원점으로부터 최소한 15m 이상 후방으로 옳길 것
③
지질, 암의 절리 등에 따라 화약량에 대한 검토 및 시방기준과 대비하여 안전조치 실시
④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정답 : ④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기출문제닷컴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는 더 많은 자격증종목의 문제풀이 및 결과(채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