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6년 4회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풀이

by 놀러와유 2022. 6.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닷컴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2016년 4회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시험과목은 " 공조냉동안전관리, 냉동기계, 공기조화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16년 4회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16년 4회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공조냉동안전관리

1. 
보일러 운전 중 수위가 저하되었을 때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화염 검출기
 
압력차단기
 
방폭문
 
저수위 경보장치
 

정답 : ④ 저수위 경보장치
2. 
보호구를 선택 시 유의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용도에 알맞아야 한다.
 
품질이 보증된 것이어야 한다.
 
쓰기 쉽고 취급이 쉬어야 한다.
 
겉모양이 호화스러워야 한다.
 

정답 : ④ 겉모양이 호화스러워야 한다.
3. 
보일러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보일러의 수면계 수위는 중간위치를 기준수위로 한다.
 
점화전에 미연소가스를 방출 시킨다.
 
가스누설의 점검을 수시로 해야 하며 점검은 비눗물로 한다.
 
보일러 저부의 침전물 배출은 부하가 가장 클 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④ 보일러 저부의 침전물 배출은 부하가 가장 클 때 하는 것이 좋다.
4. 
보일러 취급 부주의로 작업자가 화상을 입었을 때 응급처치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냉수를 이용하여 화상부의 화기를 빼도록 한다.
 
물집이 생겼으면 터뜨리지 말고 그냥 둔다.
 
기계유나 변압기유를 바른다.
 
상처부위를 깨끗이 소독한 다음 상처를 보호한다.
 

정답 : ③ 기계유나 변압기유를 바른다.
5. 
가스용접 작업 시 유의사항이다. 적절하지 못한 것은?
 
산소병은 60℃ 이하 온도에서 보관하고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차광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가스누설의 점검을 수시로 해야 하며 점검은 비눗물로 한다.
 
가스용접장치는 화기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한다.
 

정답 : ① 산소병은 60℃ 이하 온도에서 보관하고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6. 
다음 발화온도가 낮아지는 조건 중 옳은 것은?
 
발열량이 높을수록
 
압력이 낮을수록
 
산소농도가 낮을수록
 
열전도도가 낮을수록
 

정답 : ① 발열량이 높을수록
7. 
산소-아세틸렌 용접 시 역화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토치 팁이 과열 되었을 때
 
토치에 절연장치가 없을 때
 
사용가스의 압력이 부적당할 때
 
토치 팁 끝이 이물질로 막혔을 때
 

정답 : ② 토치에 절연장치가 없을 때
8.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불안전한 행동(인적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불안전한 상태 방치
 
구조재료의 부적합
 
작업환경의 결함
 
복장 보호구의 결함
 

정답 : ① 불안전한 상태 방치
9. 
기계설비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위험점이 아닌 것은?
 
협착점
 
끼임점
 
고정점
 
절단점
 

정답 : ③ 고정점
10. 
줄 작업 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줄의 균열 유무를 확인한다.
 
부러진 줄은 용접하여 사용한다.
 
줄은 손잡이가 정상인 것만을 사용한다.
 
줄 작업에서 생긴 가루는 입으로 불지 않는다.
 

정답 : ② 부러진 줄은 용접하여 사용한다.
11. 
해머(hammer)의 사용에 관한 유의 사항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쇄기를 박아서 손잡이가 튼튼하게 박힌 것을 사용한다.
 
열간 작업 시에는 식히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계속해서 작업할 수 있다.
 
타격면이 닳아 경사진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장갑을 끼지 않고 작업을 진행한다.
 

정답 : ② 열간 작업 시에는 식히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계속해서 작업할 수 있다.
12. 
재해예방의 4가지 기본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대책선정의 원칙
 
손실우연의 원칙
 
예방가능의 원칙
 
재해통계의 원칙
 

정답 : ④ 재해통계의 원칙
13. 
아크용접작업 기구 중 보호구와 관계없는 것은?
 
용접용 보안면
 
용접용 앞치마
 
용접용 홀더
 
용접용 장갑
 

정답 : ③ 용접용 홀더
14. 
안전관리 관리 감독자의 업무가 아닌 것은?
 
작업 전·후 안전점검 실시
 
안전작업에 관한 교육훈련
 
작업의 감독 및 지시
 
재해 보고서 작성
 

정답 : ① 작업 전·후 안전점검 실시
15. 
정(chisel)의 사용 시 안전관리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비산 방지판을 세운다.
 
올바른 치수와 형태의 것을 사용한다.
 
칩이 끊어져 나갈 무렵에는 힘주어서 때린다.
 
담금질 한 재료는 정으로 작업하지 않는다.
 

정답 : ③ 칩이 끊어져 나갈 무렵에는 힘주어서 때린다.

냉동기계

16. 
저항이 250Ω이고 40W인 전구가 있다. 점등 시 전구에 흐르는 전류는?
 
0.1A
 
0.4A
 
2.5A
 
6.2A
 

정답 : ② 0.4A
17. 
바깥지름 54㎜, 길이 2.66m, 냉각관수 28개로 된 응축기가 있다. 입구 냉각수은 22도씨, 출구 냉각수온 28도씨 이며 응축온도는 30도씨이다. 이때의 응축부하Q(Kcal/h)는 약 얼마인가? (단, 냉각관의 열통과율(k)은 900Kcal/m2·h·℃이고, 온도차는 산술 평균 온도차를 이용한다.)
 
25,300kcal/h
 
43,700kcal/h
 
56,858kcal/h
 
79,682kcal/h
 

정답 : ③ 56,858kcal/h
18. 
관 절단 후 절단부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하는 공구는?
 
클립
 
사이징 투울
 
파이프 리머
 
쇠 톱
 

정답 : ③ 파이프 리머
19. 
암모니아(NH3) 냉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수분에 잘 용해된다.
 
윤활유에 잘 용해된다.
 
독성, 가연성, 폭발성이 있다.
 
전열성능이 양호하다.
 

정답 : ② 윤활유에 잘 용해된다.
20. 
자기유지(self holding)란 무엇인가?
 
계전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서 여자 시키는 것
 
계전기 코일에 전류를 차단하여 자화 성질을 잃게 되는 것
 
기기의 미소 시간 동작을 위해 동작되는 것
 
계전기가 여자 된 후에도 동작 기능이 계속해서 유지되는 것
 

정답 : ④ 계전기가 여자 된 후에도 동작 기능이 계속해서 유지되는 것
21. 
냉동기에서 열교환기는 고온유체와 저온유체를 직접혼합 또는 원형동관으로 유체를 분리하여 열교환 하는데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동관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된다.
 
동관 내벽에서 외벽으로 통과할 때는 복사에 의한 열전달이 된다.
 
동관 외벽에서는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된다.
 
동관 내부에서 외벽까지 복사, 전도, 대류의 열전달이 된다.
 

정답 : ③ 동관 외벽에서는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된다.
22. 
증발열을 이용한 냉동법이 아닌 것은?
 
압축 기체 팽창 냉동법
 
증기분사식 냉동법
 
증기 압축식 냉동법
 
흡수식 냉동법
 

정답 : ① 압축 기체 팽창 냉동법
23. 
열전 냉동법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운전부분으로 인해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냉매가 필요 없음으로 냉매누설로 인한 환경오염이 없다.
 
성적계수가 증기 압축식에 비하여 월등히 떨어진다.
 
열전소자의 크기가 작고 가벼워 냉동기를 소형, 경량으로 만들 수 있다.
 

정답 : ① 운전부분으로 인해 소음과 진동이 생긴다.
24. 
왕복식 압축기 크랭크축이 관통하는 부분에 냉매나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오일링
 
압축링
 
축봉장치
 
실린더 재킷
 

정답 : ③ 축봉장치
25. 
냉동장치에 사용하는 윤활유인 냉동기유와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응고점이 낮아 저온에서도 유동성이 좋을 것
 
인화점이 높을 것
 
냉매와 분리성이 좋을 것
 
왁스(wax) 성분이 많을 것
 

정답 : ④ 왁스(wax) 성분이 많을 것
26. 
불연속 제어에 속하는 것은?
 
ON-OFF 제어
 
비례 제어
 
미분 제어
 
적분 제어
 

정답 : ① ON-OFF 제어
27. 
다음의 P-h(모리엘)선도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이클인가?
23.PNG
 
습냉각
 
과열냉각
 
습압축
 
과냉각
 

정답 : ④ 과냉각
28. 
냉동기에 냉매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액관으로 충전한다.
 
수액기로 충전한다.
 
유분리기로 충전한다.
 
압축기 흡입압축에 냉매를 기화시켜 충전한다.
 

정답 : ③ 유분리기로 충전한다.
29. 
브라인을 사용할 때 금속의 부식방지법으로 틀린 것은?
 
브라인 pH를 7.5~8.2정도로 유지 한다.
 
공기와 접촉시키고, 산소를 용입시킨다.
 
산성이 강하면 가성소다로 중화시킨다.
 
방청제를 첨가 한다.
 

정답 : ② 공기와 접촉시키고, 산소를 용입시킨다.
30.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압축식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적다.
 
증기, 온수 등 배열을 이용할 수 있다.
 
압축식에 비해 설치 면적 및 중량이 크다.
 
흡수식은 냉매를 기계적으로 압축하는 방식이며, 열적(熱的)으로 압축하는 방식은 증기 압축식이다.
 

정답 : ④ 흡수식은 냉매를 기계적으로 압축하는 방식이며, 열적(熱的)으로 압축하는 방식은 증기 압축식이다.
31. 
주파수가 60Hz인 상용 교류에서 각속도는?
 
141rad/s
 
171rad/s
 
377rad/s
 
623rad/s
 

정답 : ③ 377rad/s
32. 
흡입압력 조정밸브(SP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흡입압력이 일정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저전압에서 높은 압력으로 운전될 때 사용된다.
 
종류에는 직동식, 내부 파이롯트 작동식 등이 있다.
 
흡입압력의 변동이 많은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 : ① 흡입압력이 일정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33. 
다음 중 제빙 장치의 주요 기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교반기
 
양빙기
 
송풍기
 
탈빙기
 

정답 : ③ 송풍기
34. 
다음 중 프로세서 제어에 속하는 것은?
 
전압
 
전류
 
유량
 
속도
 

정답 : ③ 유량
35. 
배관의 신축 이음쇠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스위블형
 
루프형
 
트랩형
 
벨로즈형
 

정답 : ③ 트랩형
36. 
증기분사 냉동법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융해열을 이용하는 방법
 
승화열을 이용하는 방법
 
증발열을 이용하는 방법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
 

정답 : ③ 증발열을 이용하는 방법
37. 
냉동장치에 수분이 침입되었을 때 에멀젼 현상이 일어나는 냉매는?
 
황산
 
R-12
 
R-22
 
NH3
 

정답 : ④ NH3
38. 
역카르노 사이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개의 압축과정과 2개의 증발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압축과정과 2개의 응축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등온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증발과정과 2개의 응축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 ③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등온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39. 
프레온 냉동장치의 배관에 사용되는 재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관용 탄소 강관
 
배관용 스테인레스 강관
 
이음매 없는 동관
 
탈산 동관
 

정답 : ① 배관용 탄소 강관
40. 
표준냉동사이클의 모리엘(P-h)선도에서 압력이 일정하고, 온도가 저하되는 과정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증발과정
 

정답 : ② 응축과정
41. 
냉동 장치에서 가스 퍼져(purger)를 설치할 경우, 가스의 인입선은 어디에 설치해야 하는가?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한다.
 
수액기와 팽창 밸브 사이에 한다.
 
응축기와 수액기의 균압관에 한다.
 
압축기의 토출관으로부터 응축기의 3/4되는 곳에 한다.
 

정답 : ③ 응축기와 수액기의 균압관에 한다.
42. 
배관의 중간이나 밸브, 각종 기기의 접속 및 보수점검을 위하여 관의 해체 또는 교환 시 필요한 부속품은?
 
플렌지
 
소켓
 
밴드
 
바이패스관
 

정답 : ① 플렌지
43. 
저단측 토출가스의 온도를 냉각시켜 고단측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은?
 
부스터
 
인터쿨러
 
익스펜션탱크
 
콤파운드 압축기
 

정답 : ② 인터쿨러
44. 
축봉장치(shaft seal)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냉매 누설 방지
 
오일 누설 방지
 
외기 침입 방지
 
전동기의 슬립(slip)방지
 

정답 : ④ 전동기의 슬립(slip)방지
45.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를 일정하게 하고 응축온도를 상승시켰을 경우의 상태변화로 옳은 것은?
 
소요동력 감소
 
냉동능력 증대
 
성적계수 증대
 
토출가스 온도 상승
 

정답 : ④ 토출가스 온도 상승

공기조화

46. 
개별 공조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취급이 간단하다.
 
외기 냉방을 할 수 있다.
 
국소적인 운전이 자유롭다.
 
중앙방식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크다.
 

정답 : ② 외기 냉방을 할 수 있다.
47. 
공조방식 중 각층 유닛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각 층의 공조기 설치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없다.
 
각 층별로 부분 부하운전이 가능하다.
 
중앙기계실의 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송풍기 동력도 적게 든다.
 
각층 슬래브의 관통 덕트가 없게 되므로 방재상 유리하다.
 

정답 : ① 각 층의 공조기 설치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없다.
48. 
환기방법 중 제 1종 환기법으로 옳은 것은?
 
자연급기와 강제배기
 
강제급기와 자연배기
 
강제급기와 강제배기
 
자연급기와 자연배기
 

정답 : ③ 강제급기와 강제배기
49. 
외기온도 -5℃일 때 공급공기를 18℃로 유지하는 히트펌프 난방을 한다. 방의 총 열손실이 50000kcal/h일 때 외기로 부터 얻은 열량은 약 몇 kcal/h 인가?
 
43500kcal/h
 
46047kcal/h
 
50000kcal/h
 
53255kcal/h
 

정답 : ② 46047kcal/h
50. 
외기온도가 32.3℃, 실내온도가 26℃이고, 일사를 받은 벽의 상당온도차가 22.5℃, 벽체의 열관류율이 3kcal/m2·h·℃일 때, 벽체의 단위면적당 이동하는 열량은?
 
18.9kcal/m2·h
 
67.5kcal/m2·h
 
96.9kcal/m2·h
 
101.8kcal/m2·h
 

정답 : ② 67.5kcal/m2·h
51.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송풍기는?
 
관류 송풍기
 
축류 송풍기
 
터보 송풍기
 
크로스 플로우 송풍기
 

정답 : ② 축류 송풍기
52. 
(가), (나), (다)와 같은 관로의 국부저항계수(전압기준)가 큰 것부터 작은 순서로 나열한 것은?
24.PNG
 
(가) >(나) >(다)
 
(가) >(다) >(나)
 
(나) >(다) >(가)
 
(다) >(나) >(가)
 

정답 : ④ (다) >(나) >(가)
53. 
다음 중 건조 공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산소
 
질소
 
수증기
 
이산화탄소
 

정답 : ③ 수증기
54. 
쉘 앤 튜브(shell &tube)형 열교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열관 내 유속은 내식성이나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약 1.8m/s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관을 전열관으로 사용할 경우 유체온도는 200℃ 이상이 좋다.
 
증기와 온수의 흐름은 열교환 측면에서 병행류가 바람직하다.
 
열관류율은 재료와 유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다.
 

정답 : ① 전열관 내 유속은 내식성이나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약 1.8m/s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5. 
보일러에서 공기 예열기 사용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열효율 증가
 
연소 효율 증대
 
저질탄 연소 가능
 
노내 연소속도 감소
 

정답 : ④ 노내 연소속도 감소
56. 
공기조화시스템의 열원장치 중 보일러에 부착되는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감압 밸브
 
안전밸브
 
화염검출기
 
저수위 경보장치
 

정답 : ① 감압 밸브
57. 
가습방식에 따른 분류로 수분무식 가습기가 아닌 것은?
 
원심식
 
초음파식
 
모세관식
 
분무식
 

정답 : ③ 모세관식
58. 
물질의 상태는 변화 하지 않고, 온도만 변화 시키는 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현열
 
잠열
 
비열
 
융해열
 

정답 : ① 현열
59. 
축류형 송풍기의 크기는 송풍기의 번호로 나타내는데 회전날개의 지름(㎜)을 얼마로 나눈 것을 번호(NO)로 나타내는가?
 
100
 
150
 
175
 
200
 

정답 : ① 100
60. 
송풍기의 풍량 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토출댐퍼 제어방식에서 토출댐퍼를 조이면 송풍량은 감소하나 출구 압력이 증가한다.
 
흡입 베인 제어 방식에서 흡입측 베인을 조금씩 닫으면 송풍량 및 출구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흡입 댐퍼 제어 방식에서 흡입댐퍼를 조이면 송풍량 및 송풍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가변피치 제어 방식에서 피치각도를 증가시키면 송풍량은 증가 하지만 압력은 감소한다.
 

정답 : ① 토출댐퍼 제어방식에서 토출댐퍼를 조이면 송풍량은 감소하나 출구 압력이 증가한다.

 

기출문제닷컴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는 더 많은 자격증종목의 문제풀이 및 결과(채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