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닷컴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2021년 2회 조경기사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조경기사 시험과목은 " 조경사, 조경계획, 조경설계, 조경식재, 조경시공구조학, 조경관리 " 총 6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21년 2회 조경기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21년 2회 조경기사
조경사
1.
미국 도시계획사에서 격자형 가로망을 벗어나서 자연스러운 가로 계획으로 시카고에 리버사이드 주택단지를 최초로 시도한 사람은?
①
찰스 엘리어트(Charles Eliot)
②
엔드류 다우닝(Andrew J. Downing)
③
캘버트 보(Calvert Vaux)
④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 Olmsted)
정답 : ④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 Olmsted)
2.
고대 로마 소 플리니의 별장정원으로 전망이 좋은 터에 다양한 종류의 과일나무와 여러가지 모양으로 다듬어진 회양목 토피아리를 장식한 곳은?
①
아드리아나장(Villa Adriana)
②
라우렌틴장(Villa Laurentiana)
③
디오메데장(Villa Diomede)
④
토스카나장(Villa Toscana)
정답 : ④ 토스카나장(Villa Toscana)
3.
이탈리아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작품은?
①
에스테장(Villa d' Este)
②
랑테장(Villa Lante)
③
이졸라 벨라(Isola Bella)
④
보볼리가든(Boboli garden)
정답 : ③ 이졸라 벨라(Isola Bella)
4.
뉴욕센트럴 파크와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옴스테드의 단독 설계안을 두어 보우(Voux)가 시공하였다.
②
장방형의 공원부지 내 도로망은 대부분 자유 곡선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다.
③
4개의 횡단도로는 지하도(地下道)로서 소통하고 있다.
④
현대 공원으로서의 기본적 요소를 갖춘 최초의 공원이다.
정답 : ① 옴스테드의 단독 설계안을 두어 보우(Voux)가 시공하였다.
5.
별장생활이 발달하게 됨에 따라 정원에 Topiary가 다양한 형태(글자, 인간이나 동물, 사냥이나 선대(船隊)의 항해 장면 등)로 등장하여 발달된 시기는?
①
고대 로마
②
고대 그리스
③
고대 이집트
④
고대 메소포타미아
정답 : ① 고대 로마
6.
17세기 프랑스의 르노트르 정원구성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스타를 형성한다.
②
탑과 녹정을 배치한다.
③
정원은 광대한 면적의 대지 구성요소의 하나로 보고 있다.
④
대지의 기복에 조화시키되 축에 기초를 둔 2차원적 기하학을 구성한다.
정답 : ② 탑과 녹정을 배치한다.
7.
신라 포석정은 곡수거를 만들어 곡수연을 하였다는데 이것은 중국 진시대의 누구의 영향인가?
①
주돈이의 애연설
②
왕희지의 난정고사
③
도연명의 귀거래사
④
중장통의 락지론
정답 : ② 왕희지의 난정고사
8.
다음 중 창덕궁 후원의 기능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①
왕과 그의 가족을 위한 휴식의 공간이다.
②
학업을 수학(修學)하여 사물의 통찰력을 기른다.
③
자연 속에 둘러 싸여 현실의 속박에서 벗어나 안식을 얻는다.
④
상징적 선산(仙山)을 조산(造山)하여 축경(縮景)적 조망(眺望)을 한다.
정답 : ④ 상징적 선산(仙山)을 조산(造山)하여 축경(縮景)적 조망(眺望)을 한다.
9.
이탈리아의 노단식(露壇式) 정원과 프랑스의 평면기하학식 정원이 성립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시대사조 및 배경은?
①
국민성의 차이
②
지형적 조건의 차이
③
정원 소유주(所有主)의 권위 정도
④
천재적(天才的)인 조경가의 역할 유무
정답 : ② 지형적 조건의 차이
10.
하하(ha-ha wall) 수법이란?
①
담장을 관목류의 생울타리로 조성하여 자연과 조화되게 구성하는 수법
②
담장의 형태나 색채를 주변 자연과 조화되게끔 만드는 수법
③
담장의 높이를 낮게 하여 외부경관을 차경(借景)으로 이용하는 수법
④
담장 대신 정원대지의 경계선에 도랑을팍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도록 한 수법
정답 : ④ 담장 대신 정원대지의 경계선에 도랑을팍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도록 한 수법
11.
고려시대에 궁궐과 관가의 정원을 관장하던 관서명은?
①
다방(茶房)
②
상림원(上林園)
③
장원서(掌苑署)
④
내원서(內園署)
정답 : ④ 내원서(內園署)
12.
백제시대 방장선산(方丈仙山)을 상징하여 꾸며 놓은 신선 정원은?
①
임류각(臨流閣)
②
월지(月池)
③
궁남지(宮南池)
④
임해전지(臨海殿址)
정답 : ③ 궁남지(宮南池)
13.
일본의 비조(아스카, AD 503~709)시대에 백제 사람 노자공이 아룩한 조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본서기의 추고 천왕 20년조의 기록에서 볼 수 있다.
②
남쪽 뜰에 봉래섬과 수루를 만들었다.
③
수미산은 중국의 불교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④
지기마려(芝耆麻呂)는 노자공의 다른 이름이다.
정답 : ② 남쪽 뜰에 봉래섬과 수루를 만들었다.
14.
백제 정림사지(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1탑 1금당식
②
5층 석탑 배치
③
원내 방지의 도입
④
구릉지 남사면에 위치
정답 : ④ 구릉지 남사면에 위치
15.
중국 조경사에 있어서 유럽식 정원이 축조되었던 곳은 어느 곳인가?
①
이화원
②
사자림
③
유원
④
원명원
정답 : ④ 원명원
16.
중국정원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택 건물 사이에 중정을 조성했다.
②
사실주의에 의한 풍경식이 나타나고 있다.
③
주거용으로 쓰이는 건물의 뒤나 좌우 공지에 축조했다.
④
자연경관을 주 구성용으로 삼고 있기는 하나 경관의 조화보다는 대비에 중점을 두었다.
정답 : ② 사실주의에 의한 풍경식이 나타나고 있다.
17.
이집트의 사상은 자연숭배사상과 내세관의 깊은 영향이 반영되어 건축물이 표출되었다. 선(善)의 혼(Ka)을 통해 태양신(Ra)에 접근하려는 기하학적 형태로 인간의 동경과 열망을 대지에 세운 거대한 상징물은?
①
마스타바(mastaba)
②
피라미드(pyramid)
③
스핑크스(sphinx)
④
오벨리스크(obelisk)
정답 : ② 피라미드(pyramid)
18.
다음의 주택정원 중 정원 내 연못 수(水)경관이 없는 곳은?
①
구례 운조루
②
괴산 김기웅 가옥
③
강릉 선교장
④
달성 박황 가옥
정답 : ② 괴산 김기웅 가옥
19.
데르 엘 바하리(Deir-el Bahari)의 신원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아닌 것은?
①
Punt 보랑의 부조
②
인공과 자연의 조화
③
직교축에 의한 공간구성
④
부랑 건축 전면에 파진 식재용 돌구멍
정답 : ③ 직교축에 의한 공간구성
20.
다음 중 고대 로마의 지스터스(Xystu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보(遊步)하는 자리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②
주택 부지의 끝부분에 높은 담장과 건물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③
내방객과의 상담이나 업무를 위한 기능 공간이다.
④
세탁물 건조장 또는 채원(菜園)으로도 활용된다.
정답 : ③ 내방객과의 상담이나 업무를 위한 기능 공간이다.
조경계획
21.
기본계획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지이용계획: 현재의 토지이용에 따라 계획을 수립한다.
②
교통·동선계획: 주 이용 시기에 발생되는 통행량을 반영한다.
③
시설물배치계획: 재료나 구조를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④
식재계획: 보식계획은 실시설계 단계에서 반영한다.
정답 : ② 교통·동선계획: 주 이용 시기에 발생되는 통행량을 반영한다.
22.
도심 공원 이용객의 이용행태 조사를 위한 ‘질문의 순서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질문 항목간의 관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②
첫 번째 질문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인적사항 질문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③
응답자가 심각하게 고려햐여 응답해야 하는 질문은 위치선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④
조사 주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질문들을 우선적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② 첫 번째 질문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인적사항 질문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23.
『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광장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역전광장
②
중심대광장
③
경관광장
④
옥상광장
정답 : ④ 옥상광장
24.
자연공원법에 의한 자연공원의 분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①
지질공원
②
도립공원
③
수변공원
④
군립(郡立)공원
정답 : ③ 수변공원
25.
다음 중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 생활환경분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인구
②
위락·경관
③
위생·공중보건
④
친환경적 자원 순환
정답 : ① 인구
26.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 환경관리’를 계획에 포함하는 사업은 무엇인가?
①
신시가지의 개발
②
기존시가지의 정비
③
기존시가지의 관리
④
기존시가지의 보존
정답 : ① 신시가지의 개발
27.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도시기반시설 중 교통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공항
②
항만
③
주차장
④
광장
정답 : ④ 광장
28.
자연환경·농지 및 산림의 보호, 보건위생, 보안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녹지의 보전이 필요한 녹지지역을 지정할 수 있게 규정한 법은?
①
자연공원법
②
환경영향평가법
③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④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정답 : ③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29.
공장의 조경계획 시 고려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운영관리적 측면을 배려한다.
②
식재계획은 필요한 곳에 국지적으로 처리 한다.
③
성장속도가 빠르며 병해충이 적으면서 관리가 쉬운 수종을 선택한다.
④
공장의 성격과 입지적 특성에 따라 개성적인 식재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 : ② 식재계획은 필요한 곳에 국지적으로 처리 한다.
30.
공원 내에 휴게시설인 벤치(의자)에 대한 계획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앉음판에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계획·설계한다.
②
장시간 휴식을 목적으로 한 벤치는 좌면을 높게 만든다.
③
의자의 길이는 1인당 최소 45cm를 기준으로 하되, 팔걸이부분의 폭은 제외한다.
④
유지통과의 이격거리는 0.9m, 음수전과의 이격거리는 1.5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한다.
정답 : ② 장시간 휴식을 목적으로 한 벤치는 좌면을 높게 만든다.
31.
고속도로 조경계획 시 가능노선 선정의 고려사항을 도로 이용도와 경제적 측면,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중 기술적 측면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직선도로를 유지하도록 노선을 선정한다.
②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③
토량 이동(절·성토)이 균형을 이루는 노선을 선정한다.
④
오르막 구배가 너무 급하게 되면 우회노선을 선정한다.
정답 : ② 운수속도(運輸速度)가 가장 빠른 노선을 선정한다.
32.
미기후(Microclimat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건축물은 미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②
지형, 수륙(해안, 호반, 하안)의 분포, 식생의 유무와 종류는 미기후의 변화요소이다.
③
현지에서 장기간 거주한 주민과 대화를 통해서도 파악이 가능하다.
④
미기후 요소는 대기요소와 동일하며 서리, 안개, 자외선 등의 양은 제외한다.
정답 : ④ 미기후 요소는 대기요소와 동일하며 서리, 안개, 자외선 등의 양은 제외한다.
33.
자연공원법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자연공원법은 20년마다 공원구역을 재조정 하도록 되어 있다.
②
고원사업의 시행 및 공원시설의 관리는 별도의 예외 없이 환경청이 한다.
③
자연공원의 지정기준은 자연생태계, 경관 등을 고려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④
용도지구는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마을지구, 공원무화유산지구로 구분한다.
정답 : ④ 용도지구는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마을지구, 공원무화유산지구로 구분한다.
34.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도시공원 유형 중 규모의 제한이 있는 것은?
①
소공원
②
체육공원
③
문화공원
④
역사공원
정답 : ② 체육공원
35.
조경학의 학문적 정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공 환경의 미적특성을 다루는 전문 분야
②
외부공간을 취급하는 계획 및 설계 전문분야
③
인공 환경의 구조적 특성을 다루는 전문분야
④
토지를 미척·경제적으로 조성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예술이 종합된 실천과학
정답 : ③ 인공 환경의 구조적 특성을 다루는 전문분야
36.
도시 스카이라인 고려 요소가 아닌 것은?
①
하천의 형태 고려
②
구릉지 높이의 고려
③
조망점과의 관계 고려
④
고층건물의 클러스터(집합형태) 고려
정답 : ① 하천의 형태 고려
37.
생태학자인 오덤(Odum)이 제안한 개념 중 개체 혹은 개체군의 생존이나 성장을 멈추도록 하는 요인으로, 인내의 한계를 넘거나 이 한계에 가까운 모든 조건을 지칭하는 용어는?
①
엔트로피(entropy)
②
제한인자(limiting factor)
③
시각적 투과성(visual transparency)
④
생태적 결정론(ecological determinism)
정답 : ② 제한인자(limiting factor)
38.
조경계획의 한 과정인 ‘ 기본구상’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추상적이며 계량적인 자료가 공간적 형태로 전이되는 중간 과정이다.
②
서술적 또는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 것은 의뢰인의 이해를 돕는데 바람직하지 못하다.
③
자료의 종합분석을 기초로 하고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계획방향에 의거하여 계획안의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이다.
④
자료 분석과정에서 제기된 프로젝트의 주요 문제점을 명확히 부각시키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정답 : ② 서술적 또는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 것은 의뢰인의 이해를 돕는데 바람직하지 못하다.
39.
생태적 조경계획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Ian McHarg에 의해 주장되었다.
②
생태적 경정론이 하나의 이론적 기초가 된다.
③
생태적 조경게획은 생태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④
어떤 지역의 자연적·사회적 잠재력이 조경계획을 위해 어떤 기회성과 제한성이 있는를 판정해야 한다.
정답 : ③ 생태적 조경게획은 생태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40.
다음 설명의 ( )에 적합한 수치는?
환경부 장관 또는 승인기관의 장은 관련 조항에 따라 원상복구할 것을 명령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나, 그 원상복구가 주민의 생활, 국민경제, 그 밖에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하여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경우에는 원상 복구를 갈음하여 총 공사비의 ( )퍼센트 이하의 범위에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
①
3
②
5
③
8
④
15
정답 : ① 3
조경설계
41.
기본설계(Preliminary desig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시설계의 이전단계이다.
②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③
프로젝트의 토지이용과 동선체계를 정하는 단계이다.
④
설계개요서와 공사비 계산서 등의 서류를 만든다.
정답 : ③ 프로젝트의 토지이용과 동선체계를 정하는 단계이다.
42.
옥상조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건조에 강한 나무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②
식물을 식재할 면적은 전체 옥상면적의 1/2정도가 적합하다.
③
지반의 구조체에 따른 하중의 위치와 구조골격의 관계를 검토한다.
④
사용 조합토는 부엽토와 양토 및 모레를 섞고 약간의 유기질 비료를 넣어도 좋다.
정답 : ② 식물을 식재할 면적은 전체 옥상면적의 1/2정도가 적합하다.
43.
조경설계기준의 각종 관리시설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단주(볼라드)의 배치간격은 1.5m 정도로 설계한다.
②
자전거보관시설은 비·햇볕·대기오염으로부터 자전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지붕과 같은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③
공중화장실은 장애인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경사로를 설치하며, 경사로 폭은 휠체어의 통행이 가능한 120cm 이상으로 한다.
④
플랜터(식수대)는 배식하는 수목의 규격에 대응하는 생존 최소 토심을 확보한다.
정답 : ④ 플랜터(식수대)는 배식하는 수목의 규격에 대응하는 생존 최소 토심을 확보한다.
44.
벤치의 배치 계획 시 sociopetal 형태로 했다면 인간의 심리적 요소 중 어느 욕구에 해당하는가?
①
사회적 접촉에 대한 욕구
②
안정에 대한 욕구
③
프라이버시에 대한 욕구
④
장식에 대한 욕구
정답 : ① 사회적 접촉에 대한 욕구
45.
대당 주차 면적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주차 형식은?
(단, 형식별 주차 대수는 모두 동일 함)
①
30˚주차
②
45˚주차
③
60˚주차
④
90˚주차
정답 : ④ 90˚주차
46.
조경설계기준상의 디딤돌(징검돌) 놓기 설계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행에 적합하도록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한다.
②
디딤돌 및 징검돌의 장축은 진행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한다.
③
디딤돌은 2연석, 3연석, 2·3연석, 3·4연석 놓기를 기본으로 설계한다.
④
정원을 제외한 배치 간격은 어린이와 어른의 보폭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일반적으로 40~70cm로 하며 돌과 돌 사이의 간격이 8~10cm 정도가 되도록 배치한다.
정답 : ② 디딤돌 및 징검돌의 장축은 진행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한다.
47.
다음 먼셀 색상기호 중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①
5BG
②
5R
③
5B
④
5P
정답 : ② 5R
48.
다음 설명에 적합한 형식미의 원리는?
- 자연경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변화되는 형태, 색채, 선, 소리 등 - 다른 조화에 비하면 이해하기 어렵고 질서를 잡기도 간단하지 않으나 생명감과 존재감이 가장 강하게 나타남 |
①
비례미(proportion)
②
통일미(unity)
③
운율미(rhythm)
④
변화미(variety)
정답 : ③ 운율미(rhythm)
49.
어린이공원은 어린이라는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조성되는 목적 공원이다.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의자, 평상, 파고라 등 휴식시설은 가급적 한 곳으로 모은다.
②
부모, 노인 등 보호자 및 청소녕을 위한 공간도 고려해야 한다.
③
미끄럼대는 가급적 북향으로 하며, 그네는 태양과 맞보지 않도록 한다.
④
지형은 단순화시키고 안전을 위하여 주변과 격리되도록 구성한다.
정답 : ④ 지형은 단순화시키고 안전을 위하여 주변과 격리되도록 구성한다.
50.
아파트 외곽 담장은 Altman이 구분한 인간의 영역 중에 어느 영역을 구분하고 있는가?
①
1차영역과 2차영역
②
2차영역과 공적영역
③
1차영역과 공적영역
④
해당되는 영역이 없다.
정답 : ② 2차영역과 공적영역
51.
경관을 사진, 슬라이드 등의 방법을 통하여 평가자에게 보여주고 양극으로 표현되는 형용사 목록을 제시하여 경관을 측정하는 방법은?
①
순위조사(rank-ordering)
②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③
쌍체 비교법(paired comparison)
④
어의구별척(semantic differential scale)
정답 : ④ 어의구별척(semantic differential scale)
52.
연극무대에서 주인공을 향해 녹색과 빨간색 조명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비추었다. 주인공에게는 어떤 색의 조명으로 비추어질까?
①
Cyan
②
Gray
③
Magenta
④
Yellow
정답 : ④ Yellow
53.
그림과 같이 도형의 한쪽이 튀어나와 보여서 입체로 지각되는 착시 현상은?
①
대비의 착시
②
반전 실체의 착시
③
착시의 분할
④
방향의 착시
정답 : ② 반전 실체의 착시
54.
조경설계기분상의 「생태못 및 인공습지」설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종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관목숲, 다공질 공간과 같은 다른 소생물권과 연계 되도록 한다.
②
야생동물 서식처 목적을 위해 최소 폭은 5m이상 확보하고 주변 식재를 위해 공간을 확보한다.
③
수질정화 목적의 못은 수질정화 시설의 유출부에 설치하여 2차 처리된 방류수(방류수 10ppm)를 수원으로 한다.
④
수질정화 목적의 못 안에 붕어와 같은 물고기를 도입하고, 부레옥잠, 달개비, 미나리와 같은 수질정화 기능이 있는 식물을 배식한다.
정답 : ③ 수질정화 목적의 못은 수질정화 시설의 유출부에 설치하여 2차 처리된 방류수(방류수 10ppm)를 수원으로 한다.
55.
우리나라의 제도통칙에서는 투상도의 배치는 몇 각법으로 작도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가?
①
제 1각법
②
제 2각법
③
제 3각법
④
제 4각법
정답 : ③ 제 3각법
56.
다음 설명의 ( )안에 적합한 값은?
경사가 ( )%를 초과하는 경우는 보행에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도록 옥외계단을 설치 한다. |
①
12
②
14
③
16
④
18
정답 : ④ 18
57.
조경제도에서 치수기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치수의 단위는 cm를 원칙으로 한다.
②
치수보조선은 치수선과 직교하는 것이 원칙이다.
③
치수선은 주로 조감도, 시설물상세도, 투시도 등 다양한 도면에 사용된다.
④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치 치수를 기입하기에는 치수선이 너무 짧을 경우, 수치를 세로로 기입할 수 있다.
정답 : ② 치수보조선은 치수선과 직교하는 것이 원칙이다.
58.
다음 그림과 같은 도형에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투상을 정면으로 할 경우 우측면도로 올바른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④ 
59.
표제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도면명은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는다.
②
도면 제작에 필요한 지침을 기록한다.
③
범례는 표제란 안에 반드시 기입해야 한다.
④
도면번호, 작성자명, 작성일자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입한다.
정답 : ④ 도면번호, 작성자명, 작성일자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입한다.
60.
한 도면에서 2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때 우선순위(큰 것→…→작은 것)로 옳은 것은?
①
C→A→D→B
②
C→A→B→D
③
D→A→C→B
④
A→B→C→D
정답 : ① C→A→D→B
조경식재
61.
수목의 전정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전체적인 수형의 균형에 중점을 두어 수시로 잘라준다.
②
개화습성을 감안한 화아분화가 형성되는데 차질이 없도록 한다.
③
철쭉류는 1년 내내 언제든지 가능하다.
④
내한성이 없는 수목이라도 강전정을 하여 신초가 도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정답 : ② 개화습성을 감안한 화아분화가 형성되는데 차질이 없도록 한다.
62.
다음 설명과 가장 관련이 깊은 용어는?
수분퍼텐셜 -0.033MPa과 -1.5MPa사이의 수분을 말한다. 이 수분량은 모래, 미사 및 점토가 적절하게 혼합된 양토, 미사질양토, 식양토 등에서 많다. |
①
흡습수
②
유효수분
③
중력수
④
포장용수량
정답 : ② 유효수분
63.
식재기능별 수종의 요구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방화식재는 잎이 두텁고, 함수량이 많은 수종이어야 한다.
②
지표식재는 수형이 단정하고 아름다운 수종이어야 한다.
③
방풍·방설식재는 지하고가 높은 천근성 교목이어야 한다.
④
유도식재는 수관이 커서 캐노피를 이루거나 원추형이어야 한다.
정답 : ③ 방풍·방설식재는 지하고가 높은 천근성 교목이어야 한다.
64.
산울타리에 적합한 수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꽝꽝나무(Ilex crenata)
②
돈나무(Pittosporum tobira)
③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④
졸참나무(Quercus serrata)
정답 : ④ 졸참나무(Quercus serrata)
65.
척박한 토양에 잘 견디는 수종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①
오동나무(Poulownia tomentosa),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②
단풍나무(Acer palmatum),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③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④
은행나무(Ginkgo biloba),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정답 : ③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66.
다음 중 6~7월에 피고, 꽃이 백색으로 피었다가 황색으로 변하는 수종은?
①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②
등(wisteria floribunda)
③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④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정답 : ④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67.
화살나무(Euonymus alatus Siebold)의 특징 설명이 틀린 것은?
①
노박덩굴과(科)이다.
②
생장속도가 느리며, 병해충에 약하다.
③
언린가지에 2~4줄의 코르크질 날개가 있다.
④
보통 3개의 꽃이 달리며, 5월에 피고 지름 10mm로서 황록색이다.
정답 : ② 생장속도가 느리며, 병해충에 약하다.
68.
관목(shrub, 작은 키 나무)의 분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병아리꽃나무(Rhodotypos scandens)
②
금송(Sciadopitys verticillata)
③
황매화(Kerria japonica)
④
눈측백(Thuja koraiensis)
정답 : ② 금송(Sciadopitys verticillata)
69.
식재기능을 공간조절, 경관조절, 환경조절 기능으로 나눌 경우 공간조절 식재 기능은?
①
지표식재
②
녹음식재
③
유도식재
④
방풍식재
정답 : ③ 유도식재
70.
다음 식물의 특성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란은 목본식물이고 작약은 초본식물이다.
②
붓꽃과(科)의 식물에는 창포와 꽃창포가 있다.
③
얼레지, 처녀치마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자생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④
부들은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뻗고 수염뿌리가 있다.
정답 : ② 붓꽃과(科)의 식물에는 창포와 꽃창포가 있다.
71.
일반적인 음수(陰樹)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음수는 양수보다 광보상점이 낮다.
②
일반적으로 음수는 양수에 비해 어릴 때의 생장이 왕성하다.
③
음수가 생장할 수 있는 광량은 전수광량의 50% 내외이다.
④
양수와 음수의 구분은 그늘에서 견딜 수 있는 내음성의 정도로 구분한다.
정답 : ② 일반적으로 음수는 양수에 비해 어릴 때의 생장이 왕성하다.
72.
다음 중 속명(屬名)이 Abies가 아닌 것은?
①
구상나무
②
분비나무
③
종비나무
④
전나무
정답 : ③ 종비나무
73.
다음 설명과 같은 활용성이 높은 번식방법은?
특이하게 붉은색 열매가 많이 달리는 먼나무(Ilex rotunda)를 생산·재배하여, 조기에 붉은색 열매를 관상하려고 한다. |
①
파종
②
접목
③
분주
④
삽목
정답 : ② 접목
74.
다음에 설명하는 수종은?
- 상록활엽교목이다. - 수형은 원추형이다. - 뿌리는 심근성이다. - 꽃은 백색으로 방향성, 지름 15~20cm, 화피편은 9~12개, 두꺼운 육질로 5~6월에 개화한다. |
①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②
버즘나무(Platanus orientalis)
③
버드나무(Salix koreensis)
④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정답 : ④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75.
Allee 성장형으로 본 식물종의 성장률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중간밀도에서 다른 경우보다 더 크다.
②
낮은 밀도에서 다른 경우보다 더 크다.
③
높은 밀도에서 다른 경우보다 더 크다.
④
항상 동등하게 성장한다.
정답 : ① 중간밀도에서 다른 경우보다 더 크다.
76.
고속도로 식재의 기능과 종류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휴식 - 녹음식재
②
주행 - 시선유도식재
③
방재 - 임연보호식재
④
사고방지 - 완충식재
정답 : ③ 방재 - 임연보호식재
77.
양버들(Populus nigra var. italica Koehn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버드나무과(科) 수종이다.
②
수형은 원주형으로 빗자루처럼 좁은 형태이다.
③
성상은 낙엽활엽교목이고 뿌리는 천근성이다.
④
우리나라 자생수종으로 가을에 붉은 단풍이 아름답다.
정답 : ④ 우리나라 자생수종으로 가을에 붉은 단풍이 아름답다.
78.
조경 식물의 일반적인 선정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미적(美的)·실용적 가치가 있는 식물
②
식재지역 환경에 적응성이 큰 식물
③
야생동물의 먹이가 풍부한 식물
④
시장니나 묘포(苗圃)에서 입수하기 용이한 식물
정답 : ③ 야생동물의 먹이가 풍부한 식물
79.
토양의 물리적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수 불량지는 양질의 토양으로 객토해야 한다.
②
수목 생육에는 일반적으로 양토나 사양토가 적합하다.
③
입단(粒團, aggregated)구조의 토양은 딱딱하고 통기성이 불량하여 수목생육에 좋지 않게 된다.
④
토양입자의 거침에 따라 사토, 사양토, 양토, 식토로 구분되며, 후자로 갈수록 점토의 함량이 많아진다.
정답 : ③ 입단(粒團, aggregated)구조의 토양은 딱딱하고 통기성이 불량하여 수목생육에 좋지 않게 된다.
80.
우리나라 수생식물은 정수, 부엽, 침수, 부유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부유식물에 해당되는 것은?
①
창포
②
수련
③
나사말
④
생이가래
정답 : ④ 생이가래
조경시공구조학
81.
공사현장 관리조직을 구성하는데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직책과 권한의 위임을 분명히 한다.
②
공사착수 후에 현장관리 조직을 편성한다.
③
각 부분의 관계를 고려하여 규칙을 마련한다.
④
일의 성격을 명확히 해서 분류, 통합한다.
정답 : ② 공사착수 후에 현장관리 조직을 편성한다.
82.
콘크리트의 표준배합 설계요소에 포함되자 않는 것은?
①
슬럼프값 결정
②
물-시멘트비 결정
③
단위수량의 결정
④
굵은 골재의 최소치수 결정
정답 : ④ 굵은 골재의 최소치수 결정
83.
다음 중 수해에 접하는 구조물에 가장 적합한 시멘트는? (전항정답)
①
고로 시멘트
②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③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④
증용열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① 고로 시멘트② 보통포틀랜드 시멘트③ 조강포틀랜드 시멘트④ 증용열포틀랜드 시멘트
84.
그림과 같은 동질(同質), 동단면(同斷面)의 장주(長柱) 압축재로 축방향 하중에 대한 강도의 상호관계로서 옳은 것은?
①
A > B > C
②
A > B = C
③
A = B = C
④
A = B < C
정답 : ④ A = B < C
85.
대기 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으로 콘크리트 내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하면서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은?
①
레이턴스
②
크리프
③
슬럼프
④
중성화
정답 : ④ 중성화
86.
다음 중 돌공사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석재는 인장력에 약하다.
②
대리석은 내구성이 약하고, 내화성이 떨어진다.
③
구조용 석재는 흡수율 30%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④
돌쌓기 공사에 사용되는 긴결재로는 철재를 사용한다.
정답 : ④ 돌쌓기 공사에 사용되는 긴결재로는 철재를 사용한다.
87.
다음 중 시방서에 포함될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사용재료의 종류와 품질
②
단위공사의 공사량
③
시공상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④
도면에 기재할 수 없는 공사내용
정답 : ② 단위공사의 공사량
88.
구조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모멘트(moment): 어느 한 점에 대한 회전능률이다.
②
모멘트(moment): 거리에 반비례 한다.
③
지점(support): 구조물의 전체가 지지 또는 연결된 지점이다.
④
힌지(hinge): 회전은 가능하지만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없다.
정답 : ② 모멘트(moment): 거리에 반비례 한다.
89.
다음 중 다짐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건설기계의 종류는?
①
탬핑롤러
②
불도저
③
래머
④
스크레이퍼
정답 : ④ 스크레이퍼
90.
건설공사의 시공 시 작성하는 공정표 중 공사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개발된 공정표는?
①
바 차트(Bar Chart)
②
칸트 차트(Gantt Chart)
③
CPM(Critical Path Method)
④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정답 : ③ CPM(Critical Path Method)
91.
목재의 강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벌목의 계절은 목재강도에 영향을 끼친다.
②
일반적으로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인 경우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작다.
③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지만 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④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 감소에 따라 강도가 증대한다.
정답 : ③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지만 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92.
A점과 B점의 표고는 각각 125m, 150m 이고, 수평거리는 200m 이다. AB 간은 등경사라고 가정할 때, AB선상에 표고가 140m가 되는 점의 A점으로부터 수평거리는?
①
40 m
②
80 m
③
120 m
④
160 m
정답 : ③ 120 m
93.
합판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관한 건설표준 품셈에서 대상 구조물이 측구, 수로, 우물통등 비교적 간단한 벽체 구조, 교량 및 건축 슬래브인 경우에는 몇 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단, 유형은 보통으로 한다.)
①
2회
②
3회
③
4회
④
6회
정답 : ③ 4회
94.
그림과 같이 사각형분할로 구분되는 지역에서 정지 공사를 위해 각 지점의 계획절토고를 측정하였다. 점고법에 의한 계획지반고에 준거하여 절토할 토공량은?
(단, F.L ± 0)
①
38 ㎥
②
40 ㎥
③
66 ㎥
④
68 ㎥
정답 : ③ 66 ㎥
95.
배수지역 내 우수의 유출을 환경 친화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투수성 포장을 한다.
②
체수지나 연못을 만든다.
③
지하 배수관로를 많이 만든다.
④
주차장이나 공원하부에 저수조를 만든다.
정답 : ③ 지하 배수관로를 많이 만든다.
96.
0.4㎥ 용량의 유압식 백호(Back-Hoe)를 이용하여 작업상태가 양호한 자연상태의 사질토를 굴착 후 덤프트럭에 적재하려 할 때, 시간당 굴착 작업량(㎥)은?
[조건] · 버킷계수: 1.1 · 1회 사이클시간: 19초 · 사질토의 토량변화율: 1.25 · 작업효율(점성토: 0.75, 사질토: 0.85) |
①
50.02
②
56.69
③
78.16
④
192.79
정답 : ② 56.69
97.
인공살수(人工撒水) 시설의 설계를 위한 관개강도(灌漑强度)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작업시간
②
가압기의 능력
③
토양의 종류, 경사도
④
지피식물의 피복도(被覆度)
정답 : ② 가압기의 능력
98.
도로설계의 수직노선 설정 시 종단곡선으로 사용되는 곡선은?
①
클로소이드곡선
②
램니스케이트곡선
③
2차 포물선
④
3차 포물선
정답 : ③ 2차 포물선
99.
캔틸레보에 집중하중을 받고 있을 때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A~C 구간의 전단력이 0 이며, B~C 구간의 전단력은 -5ton이다.
②
B지점의 반력은 수직, 수평반력과 휨모멘트반력이 작용한다.
③
휨모멘트의 크기는 10t · m이다.
④
B점의 반력의 크기는 -50ton이다.
정답 : ① A~C 구간의 전단력이 0 이며, B~C 구간의 전단력은 -5ton이다.
100.
다음 건설재료 중 할증률이 가장 큰 것은?
①
각재
②
일반용합판
③
잔디
④
경계블록
정답 : ③ 잔디
조경관리
101.
수목 유지관리 중 정지(training) · 전정(pruning)의 목적에 따른 분류가 가장 부적합한 것은?
①
갱신을 위한 전정 : 소나무
②
조형을 위한 전정 : 향나무
③
생장조정을 위한 전정 : 묘목
④
개화결실의 촉진을 위한 전정 : 매화나무
정답 : ① 갱신을 위한 전정 : 소나무
102.
조경현장의 근로자가 경련(발작)을 할 때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발작이 멈출 때까지 환자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
②
환자의 치아 사이로 어떠한 물체도 끼우면 아니 된다.
③
우선 환자를 붙잡아 2차 상해방지와 경련(발작)이 조기에 진정될 수 있도록 한다.
④
환자에게 먹을 거나 마실 것을 줘서는 안되지만 환자가 당뇨병 환자라면 환자의 혀 아래 각설탕을 넣는 것은 가능하다.
정답 : ③ 우선 환자를 붙잡아 2차 상해방지와 경련(발작)이 조기에 진정될 수 있도록 한다.
103.
다음 식물의 병·충해 방제 방법이 생태계에 가장 치명적인 해를 주는 것은?
①
기계적 방법에 의한 방제
②
생물적 방법에 의한 방제
③
재배적 방법에 의한 방제
④
화학적 방법에 의한 방제
정답 : ④ 화학적 방법에 의한 방제
104.
이식에 적합한 조경수의 상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뿌리가 되도록 무성하게 많이 꼬인 수목
②
겨울철에 동아가 가지마다 뚜렷한 수목
③
성숙 잎의 색이 짙은 녹색이며, 크고 촘촘히 달린 수목
④
골격지가 적절한 간격의 4방향으로 균형 있게 뻗은 수목
정답 : ① 뿌리가 되도록 무성하게 많이 꼬인 수목
105.
다음 중 미량원소(micro element)로만 구성된 것은?
①
Fe, Mg, S, Mo, Cl
②
Fe, B, Zn, Mo, Mn
③
Fe, Si, Cu, S, Cl
④
Fe, Ca, Cu, Mo, B
정답 : ② Fe, B, Zn, Mo, Mn
106.
공정관리를 위한 횡선식 공정표 중 현장 기사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으면서 작업소요일수가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는 공정표는?
①
절선공정표
②
얼기식 공정표
③
바 차트(Bar Chart)
④
네트워크 공정표
정답 : ③ 바 차트(Bar Chart)
107.
시설물에 따른 점검 빈도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많은 비가 내린 후 유입토사에 의해 우수 배수관의 막힘, 배수 불량 부분의 점검: 필요시 마다
②
관 내에 지하수, 오수 등 침입의 유무 및 관내의 흐름 상태를 점검: 1회/2년
③
U형 측구, V형 배수로 등의 지반 침하가 현저하거나 역구배 및 파손된 장소의 유무 점검: 1회/6개월
④
운동장 표층의 파손상태, 물웅덩이, 표층의 안정 상태 점검: 1회/6개월
정답 : ② 관 내에 지하수, 오수 등 침입의 유무 및 관내의 흐름 상태를 점검: 1회/2년
108.
잡초가 발아하기 전에 지표면에 약제를 살포하여 잡초종자를 발아하지 못하게 하거나 발아 직후 어린식물의 생육을 멈추게 하는 제초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선택성 제초제
②
토양처리 제초제
③
경엽처리 제초제
④
비선택성 제초제
정답 : ② 토양처리 제초제
109.
다음 중 토성별 단위 g당 토양의 공극량(%)이 가장 큰 것은?
①
사토
②
사양토
③
미사질 양토
④
식토
정답 : ④ 식토
110.
토양 pH가 높을 때 식물에 의한 흡수가 가장 어려운 성분은?
①
Mo
②
Fe
③
Ca
④
S
정답 : ② Fe
111.
작업자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부상 또는 질병에 이환되지 않는 "무재해" 이념의 3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무(Zero)의 원칙
②
선취의 원칙
③
관리의 원칙
④
참가의 원칙
정답 : ③ 관리의 원칙
112.
골프장 잔디의 관수와 관련된 설명이 옳은 것은?
①
가능한 한 심층관수 하되 자주하지 않는다.
②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관개계획을 수립한다.
③
관수 소모량의 120%를 관수하여 위조를 막는다.
④
실린지(Syringe) 효과를 위해 잔디와 토양이 모두 충분히 젖도록 살수한다.
정답 : ① 가능한 한 심층관수 하되 자주하지 않는다.
113.
도시공원녹지(U)와 자연공원(N) 관리특성 상 가장 큰 차이점은?
①
U는 자원의 보전보다는 이용자의 레크레이션 요구도에 집착한다.
②
U는 이용관리적 측면이, N은 시설관리적 측면이 우선된다.
③
U는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며 N은 상대적으로 자연자원의 보존이 고려되어야 한다.
④
레크레이션 경험의 창출을 위해 U와 N은 모두 서비스(service)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정답 : ③ U는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며 N은 상대적으로 자연자원의 보존이 고려되어야 한다.
114.
운영관리 계획에서 양적(量的)인 변화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간이화장실의 증설량
②
고사목, 밀식지의 수목제거
③
이용자 증가에 따른 출입구의 임시 개설
④
잔디블럭으로 포장된 주차공간의 도입
정답 : ④ 잔디블럭으로 포장된 주차공간의 도입
115.
품질관리(QC)의 목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자기개발
②
불량률의 감소
③
고급품의 생산
④
생산능률의 향상
정답 : ① 자기개발
116.
기주 범위가 가장 넓은 다범성 병균은?
①
녹병균
②
잎마름병균
③
버즘나무 탄저병균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균
정답 :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균
117.
탄질비가 20 인 유기물의 탄소 함량이 40%이면 질소 함량은?
①
1.2%
②
3.0%
③
8.0%
④
12%
정답 : ② 3.0%
118.
해충의 주화성(走化性)을 이용하는 약제는?
①
유인제
②
해독제
③
훈연제
④
생물농약
정답 : ① 유인제
119.
조경 수목의 재해방지 대책을 위한 관리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침수 상습 지대는 수목 주위에 배수로를 설치해 준다.
②
태풍에 쓰러진(도복) 수목은 뿌리를 보호한 후 재활용을 위해 가을까지 그대로 둔다.
③
강설 중이나 직후에는 수관에 쌓인 눈을 즉시 제거해 줌으로서 가지를 보호한다.
④
태풍, 강풍의 예상시기에는 수목에 지주목이나 철선 등을 묶어 도복을 방지한다.
정답 : ② 태풍에 쓰러진(도복) 수목은 뿌리를 보호한 후 재활용을 위해 가을까지 그대로 둔다.
120.
멀칭(Mulching)의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토양수분 유지
②
토양비옥도 증진
③
토양구조 개선
④
토양 고결화 촉진
정답 : ④ 토양 고결화 촉진
기출문제닷컴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는 더 많은 자격증종목의 문제풀이 및 결과(채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