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닷컴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2016년 4회 유기농업기능사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유기농업기능사 시험과목은 " 작물재배, 토양관리, 유기농업일반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16년 4회 유기농업기능사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16년 4회 유기농업기능사
작물재배
1.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수공에서 물이 나오는 현상은?
①
일액현상
②
일비현상
③
증산작용
④
Apoplast
정답 : ① 일액현상
2.
작물이 받는 냉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생태형냉해
②
지연형냉해
③
병해형냉해
④
장해형냉해
정답 : ① 생태형냉해
3.
장일식물로만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도꼬마리, 국화
②
들깨, 콩
③
시금치, 담배
④
양파, 상추
정답 : ④ 양파, 상추
4.
수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볏과 목초, 피, 수수 등 침수에 강한 작물을 선택한다.
②
수온이 높으면 호흡기질 의 소모가 빨라 피해가 크다.
③
벼의 침수피해는 수잉기 보다 분얼 초기에 심하다.
④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관수해가 커진다.
정답 : ③ 벼의 침수피해는 수잉기 보다 분얼 초기에 심하다.
5.
토양입단 형성에 알맞은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유기물 시용
②
석회 시용
③
토양의 피복
④
질산나트륨 시용
정답 : ④ 질산나트륨 시용
6.
포장동화능력을 지배하는 요인으로만 옳게 나열한 것은?
①
엽면적, 광포화점, 광보상점
②
총엽면적, 수광능률, 평균동화능력
③
광량, 광의 강도, 엽면적
④
착색도, 광량, 엽면적
정답 : ② 총엽면적, 수광능률, 평균동화능력
7.
지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①
토심을 깊게 한다.
②
단립(團粒)구조를 만든다.
③
토양 pH는 중성으로 만든다.
④
토성은 사양토 ~ 식양토로 만든다.
정답 : ② 단립(團粒)구조를 만든다.
8.
광합성에 가장 유효한 반응은?
①
녹색광
②
황색광
③
자색광
④
적색광
정답 : ④ 적색광
9.
작물의 적산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작물의 생육시기와 생육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②
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나타낸다.
③
작물이 일생을 마치는데 소요되는 총온량을 표시한다.
④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 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이다.
정답 : ② 작물의 생육이 가능한 범위의 온도를 나타낸다.
10.
식물의 굴광현상에 가장 유효한 광은?
①
자색광
②
청색광
③
적색광
④
적외선
정답 : ② 청색광
11.
작물의 요수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작물의 건물 1g을 생산하는데 소비된 수분량이다.
②
증산계수 또는 증산능률이라고도 한다.
③
요수량이 작은 작물이 가뭄에 강하다.
④
작물별로 수분의 절대소비량을 표기하는 것은 아니다.
정답 : ② 증산계수 또는 증산능률이라고도 한다.
12.
작물수량을 증가시키는 3대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유전성이 좋은 품종 선택
②
알맞은 재배환경
③
적합한 재배기술
④
상품성이 우수한 작물 선택
정답 : ④ 상품성이 우수한 작물 선택
13.
뿌리에서 가장 왕성하게 수분흡수가 일어나는 부위는?
①
근모부
②
뿌리골무
③
생장점
④
신장부
정답 : ① 근모부
14.
탄산시비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호흡작용의 증대
②
증산작용의 증대
③
광합성의 증대
④
비료흡수의 촉진
정답 : ③ 광합성의 증대
15.
식물의 필수 양분 중 미량원소가 아닌 것은?
①
Fe
②
B
③
N
④
Cl
정답 : ③ N
16.
토양 속에서 작물뿌리가 수분을 흡수하는 기구를 나타낸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a: 세포의 삼투압, m: 세포의 팽압(막압), t: 토양의 수분보유력, a′: 토양용액의 삼투압)
①
(a – m) - (t + a′)
②
(a – m) + (t + a′)
③
(a + m) - (t + a′)
④
(a + m) + (t + a′)
정답 : ① (a – m) - (t + a′)
17.
고추와 토마토의 일장 감응형은?
①
장일성
②
중일성
③
단일성
④
정일성
정답 : ② 중일성
18.
식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의 형태는?
①
결합수
②
흡습수
③
지하수
④
모관수
정답 : ④ 모관수
19.
식물의 분류 중 ( )안에 들어 갈 용어는?
문 → ( ) → 목 → 과 → 속 |
①
종
②
강
③
계통
④
아목
정답 : ② 강
20.
작물의 분화과정을 옳게 나열한 것은?
①
변이발생 → 순화 → 격리 → 도태
②
변이발생 → 격리 → 적응 → 도태
③
변이발생 → 도태 → 격리 → 적응
④
변이발생 → 도태 → 순화 → 격리
정답 : ④ 변이발생 → 도태 → 순화 → 격리
토양관리
21.
다음 중 토양의 양분 보유력을 가장 증대시킬 수 있는 영농방법은?
①
부식질 유기물의 시용
②
질소비료의 시용
③
모래의 객토
④
경운의 실시
정답 : ① 부식질 유기물의 시용
22.
화성암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이 아닌 것은?
①
방해석
②
각섬석
③
석영
④
운모
정답 : ① 방해석
23.
지하수위가 높은 저습지나 배수 불량지에서 환원 상태가 발달하면서 청회색을 띠는 토층이 발달하는 토양 생성 작용은?
①
podzolization
②
salinization
③
alkalization
④
gleywztion
정답 : ④ gleywztion
24.
토양 속 NH4+ → NO2- → NO3-는 무슨 작용인가?
①
암모니아화작용
②
질산화작용
③
탈질작용
④
유기화작용
정답 : ② 질산화작용
25.
논토양과 밭토양의 차이점으로 틀린 것은?
①
논토양은 무기양분의 천연공급량이 많다.
②
논토양은 유기물 분해가 빨라 부식함량이 적다.
③
밭토양은 통기상태가 양호하며 산화상태이다.
④
밭토양은 산성화가 심하여 인산 유효도가 낮다.
정답 : ② 논토양은 유기물 분해가 빨라 부식함량이 적다.
26.
저위생산지 개량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습답은 점토가 많은 산적토를 객토한다.
②
누수답은 암거배수 등으로 배수개선을 한다.
③
노후화답을 개량하기 위해 석고를 시용한다.
④
미숙답은 심경하고 다량의 볏짚을 시용한다.
정답 : ④ 미숙답은 심경하고 다량의 볏짚을 시용한다.
27.
토양유기물의 탄질률에 따른 질소의 행동으로 틀린 것은?
①
탄질률이 높은 유기물을 주면 질소의 공급효과가 높다.
②
시용하는 유기물의 탄질률이 높으면 질소가 일시적으로 결핍된다.
③
콩과식물을 재배하면 질소의 공급에 유리하다.
④
토양 유기물의 분해는 탄질률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정답 : ① 탄질률이 높은 유기물을 주면 질소의 공급효과가 높다.
28.
토양의 환원상태를 촉진하지 않는 것은?
①
미숙퇴비 살포
②
투수성 불량
③
토양의 수분 건조
④
미생물 활동 증가
정답 : ③ 토양의 수분 건조
29.
토양단면에서 용탈흔적이 가장 명료한 토층은?
①
O층
②
E층
③
A층
④
C층
정답 : ② E층
30.
토양 중 인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양 pH가 5~6의 범위에서는 H2PO4-의 형태로 존재한다.
②
토양의 pH가 중성보다 낮아질수록 용해도가 증가한다.
③
토양 pH가 8이상의 범위에서는 H3PO4의 형태로 존재한다.
④
CEC가 클수록 흡착되는 양이 많아진다.
정답 : ① 토양 pH가 5~6의 범위에서는 H2PO4-의 형태로 존재한다.
31.
토양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질소와 인산비료의 과다시용은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②
농경지 농약의 살포는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③
일반적으로 중금속의 흡착은 pH가 높을수록 적어진다.
④
방사성 물질은 비점오염원이다.
정답 : ③ 일반적으로 중금속의 흡착은 pH가 높을수록 적어진다.
32.
토양오염원을 분류할 때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산성비
②
대단위 가축사육장
③
유독물저장시설
④
폐기물매립지
정답 : ① 산성비
33.
시설재배 토양에서 염류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담수에 의한 제염
②
제염작물 재배
③
객토 및 암거배수에 의한 토양개량
④
돈분퇴비의 시용
정답 : ④ 돈분퇴비의 시용
34.
토양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균근류는 통기성과 투수성을 증가시킨다.
②
화학종속영양세균의 주 에너지원은 빛이다.
③
토양 유기물을 분해시켜 부식으로 만든다.
④
조류는 광합성을 하고 산소를 방출한다.
정답 : ② 화학종속영양세균의 주 에너지원은 빛이다.
35.
수평배열의 토괴로 구성된 구조이며, 투수성에 가장 불리한 토양구조는?
①
판상
②
입상
③
주상
④
괴상
정답 : ① 판상
36.
토양오염 우려기준 물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Cd
②
Al
③
Hg
④
As
정답 : ② Al
37.
다음 중 공생질소고정균은?
①
Azotobacter
②
Rhizobium
③
Beijerincria
④
Derxia
정답 : ② Rhizobium
38.
피복작물에 의한 토양보전 효과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토양의 유실 증가
②
토양 투수력 감소
③
빗방울의 토양 타격강도 증가
④
유거수량의 감소
정답 : ④ 유거수량의 감소
39.
물에 의한 침식을 가장 받기 쉬운 토성은?
①
식토
②
양토
③
사토
④
사양토
정답 : ① 식토
40.
토양 침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내수성이 입단이 적고 투수성이 나쁜 토양이 침식되기 쉽다.
②
경사도가 크고 경사길이가 길수록 침식이 많이 일어난다.
③
강우량이 강우 강도 보다 토양 침식에 대한 영향이 크다.
④
작물의 종류, 경운 시기와 방법에 따라 침식량이 다르다.
정답 : ③ 강우량이 강우 강도 보다 토양 침식에 대한 영향이 크다.
유기농업일반
41.
유기농업 생산체계의 목표가 아닌 것은?
①
작물 및 축산물 생산성 최대화를 추구한다.
②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는 농업을 추구한다.
③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는데 목표를 둔다.
④
자원이나 물질의 재활용을 극대화한다.
정답 : ① 작물 및 축산물 생산성 최대화를 추구한다.
42.
다음 중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당근, 상추
②
고추, 쑥갓
③
양파, 옥수수
④
무, 양배추
정답 : ④ 무, 양배추
43.
유기농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식물 추출 자재가 아닌 것은?
①
님제제
②
제충국
③
바이오밥
④
카보후란
정답 : ④ 카보후란
44.
다음 중 포식성 곤충에 해당하는 것은?
①
팔라시스이리응애
②
침파리
③
고치벌
④
꼬마벌
정답 : ① 팔라시스이리응애
45.
유기축산물의 축사 및 방목에 대한 요건으로 틀린 것은?
①
축사·농기계 및 기구 등은 청결하게 유지하고 소독함으로써 교차감염과 질병감염체의 증식을 억제하여야 한다.
②
축사의 바닥은 부드러우면서도 미끄럽지 아니하고, 청결 및 건조하여야 하며, 충분한 휴식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고, 휴식공간에서는 건조깔짚을 깔아 주어야한다.
③
가금류의 축사는 짚·톱밥·모래 또는 야초와 같은 깔짚으로 채워진 건축공간이 제공되어야 하며, 산란계는 산란상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④
번식돈은 임신 말기 또는 포유기간을 제외하고는 군사를 하여야 하고, 자돈 및 육성돈은 케이지에서 사육하지 아니할 것. 다만, 자돈 압사 방지를 위하여 포유기간에는 모돈가 조기 융한 자돈의 생체중이 50킬로그램까지는 케이지에서 사육할 수 있다.
정답 : ④ 번식돈은 임신 말기 또는 포유기간을 제외하고는 군사를 하여야 하고, 자돈 및 육성돈은 케이지에서 사육하지 아니할 것. 다만, 자돈 압사 방지를 위하여 포유기간에는 모돈가 조기 융한 자돈의 생체중이 50킬로그램까지는 케이지에서 사육할 수 있다.
46.
다음 중 시설의 토양관리에서 객토를 실시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미량원소의 공급
②
토양침식 효과
③
염류집적의 제거
④
토양물리성 개선
정답 : ② 토양침식 효과
47.
고구마 수확물의 상처에 유상조직인 코르크층을 발달시켜 병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조치는?
①
예냉
②
큐어링
③
CA
④
프라이밍
정답 : ② 큐어링
48.
(A × B) × C와 같이 F1과 제3품종을 교배하는 것은?
①
다계교배
②
복교배
③
3원교배
④
단교배
정답 : ③ 3원교배
49.
산도(pH)가 중성인 토양은?
①
pH 3~4
②
pH 4~5
③
pH 6~7
④
pH 9~10
정답 : ③ pH 6~7
50.
다음 중 병해충 방제를 위한 경종적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과실에 봉지를 씌워서 차단
②
토지의 선정
③
품종의 선택
④
생육시기의 조절
정답 : ① 과실에 봉지를 씌워서 차단
51.
인공교배하여 F1을 만들고 F2부터 매세대 개체선발과 계통재배 및 계통선발을 반복하면서 우량한 유전자형의 순계를 육성하는 육종방법은?
①
파생계통육종
②
계통육종
③
여교배육종
④
집단육종
정답 : ② 계통육종
52.
일반농가가 유기축산으로 전환할 때 전환기간으로 틀린 것은?
①
식육 생산용 한우는 입식후 3개월 이상
②
시유 생산용 젖소는 90일 이상
③
식육 생산용 돼지는 최소 5개월 이상
④
알 생산용 산란계는 입식 후 3개월 이상
정답 : ① 식육 생산용 한우는 입식후 3개월 이상
53.
시설 내의 환경특이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토양의 건조해지기 쉽다.
②
공중습도가 높다.
③
탄산가스가 높다.
④
광분포가 불균일하다.
정답 : ③ 탄산가스가 높다.
54.
한 포장 내에서 위치에 따라 종자, 비료, 농약 등을 달리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최대로 하려는 농업은?
①
자연농업
②
생태농업
③
정밀농업
④
유기농업
정답 : ③ 정밀농업
55.
다음중 작물의 요수량이 가장 큰 것은?
①
옥수수
②
클로버
③
보리
④
기장
정답 : ② 클로버
56.
유기사료에 첨가해도 되는 것은?
①
가축의 대사기능 촉진을 위한 합성화합물
②
비단백태질소화합물
③
성장촉진제
④
순도 99% 이상인 골분
정답 : ④ 순도 99% 이상인 골분
57.
경축순환농업으로 사육하지 않은 농장에서 유래한 퇴비를 유기농업에 사용할수 있는 충족 조건은?
①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더미가 35~50℃를 유지하면서 10일간이상 경과되어야 한다.
②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더미가 55~75℃를 유지하면서 15일간이상 경과되어야 한다.
③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더미가 80~95℃를 유지하면서 10일간이상 경과되어야 한다.
④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더미가 80~95℃를 유지하면서 15일간이상 경과되어야 한다.
정답 : ② 퇴비화 과정에서 퇴비더미가 55~75℃를 유지하면서 15일간이상 경과되어야 한다.
58.
병해충종합관리의 기본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①
한 가지 방법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생각은 버린다.
②
병해충 발생이 경제적으로 피해가 되는 밀도에서만 방제한다.
③
병해충의 개체군을 박멸해야 한다.
④
농업생태계에서 병해충군의 자연조절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정답 : ③ 병해충의 개체군을 박멸해야 한다.
59.
유기농에서 예방적 잡초제어의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초생재배
②
윤작
③
파종밀도 조절
④
무경운
정답 : ④ 무경운
60.
유기축산물의 유기배합사료 중 식물성 단백질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옥수수, 보리
②
밀, 수수
③
호밀, 귀리
④
들깻묵, 아마박
정답 : ④ 들깻묵, 아마박
기출문제닷컴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는 더 많은 자격증종목의 문제풀이 및 결과(채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