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닷컴입니다. 오늘의 랜덤 기출문제는 종자기능사 입니다.
기출문제닷컴에 입력되어 있는 기출문제 자료들를 활용하여 종자기능사 자격증 필기 기출문제를 랜덤(무작위)하게 뽑아내었습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종자기능사 시험과목은 " 종자, 작물육종, 작물 " 총 3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락없이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기출문제닷컴홈페이지)에서는 종자기능사 기출문제 문제풀이를 회차별 또는 랜덤으로 회원가입등이 없이 문제풀이를 맘껏 풀이 해볼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종자기능사
종자
1.
종자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곡류는 저온ㆍ건조할수록 저장에 유리하다.
②
식용감자는 3~4℃ 및 85~90%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③
고구마는 2~5℃ 및 80~95%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④
엽ㆍ근채류는 0~4℃ 및 90~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다.
정답 : ③ 고구마는 2~5℃ 및 80~95%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2.
다음 중 벼 배유의 제일 바깥 세포층을 가리키는 것은?
①
호분층
②
왕겨
③
내배유
④
씨눈
정답 : ① 호분층
3.
다음 중 종자 저장 관리에서 흡습제(吸濕劑)로 사요되는 것은?
①
피트모스
②
염화칼슘
③
펄라이트
④
유황분말
정답 : ② 염화칼슘
4.
영양번식에 의하여 종묘를 생산하는 작물은?
①
배추
②
무
③
수박
④
마늘
정답 : ④ 마늘
5.
옥수수 복교잡종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종자값이 저렴하다.
②
여러 환경조건에 대한 완충능력이 있다.
③
개화기간이 길어 다른 교잡종보다 수분기회가 많아 이삭이 충실해진다.
④
불량 환경조건일 때 종자의 균일도가 단교잡종이나 삼원교잡종 종자보다 낮다.
정답 : ④ 불량 환경조건일 때 종자의 균일도가 단교잡종이나 삼원교잡종 종자보다 낮다.
6.
다음 중 단명종자가 아닌 것은?
①
상추
②
양파
③
콩
④
토마토
정답 : ④ 토마토
7.
생산력이 우수하던 종자가 재배연수를 지나는 동안에 점차 생산력이 감퇴되고 품질이 나빠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유전적 고정
②
종자의 휴면
③
종자의 미숙
④
종자의 퇴화
정답 : ④ 종자의 퇴화
8.
수박 종자의 실용적인 발아력을 갖게 되는 시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개화 수분 후 25일
②
개화 수분 후 45일
③
개화 수분 후 55일
④
개화 수분 후 65일
정답 : ② 개화 수분 후 45일
9.
감자 바이러스 ELISA법으로 검정했을 경우 다음 중 ELISA법이 속하는 검정법은?
①
한천배지 검정
②
여과지배양 검정
③
생물학적 검정
④
혈청학적 검정
정답 : ④ 혈청학적 검정
10.
꽃이 피어도 성장이 정지되니 않고 계속해서 성장하고 꽃을 피우게 되어 동일한 화서를 가지면서도 종자의 성숙기가 다르게 되는 화서(花序)는?
①
유한화서
②
단정화서
③
무한화서
④
집단화서
정답 : ③ 무한화서
11.
생리적으로는 성숙하였지만 형태적으로 미숙한 상태로 모주(母株)로부터 종자가 떨어져 차츰 분화한 다음 완전한 형태의 종자로 성숙하는 것은?
①
후숙(後熟)
②
2차 휴면
③
타발휴면
④
배(胚)
정답 : ① 후숙(後熟)
12.
다음 중 우량종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①
우량한 유전적 형질을 갖춘 것
②
채종 후 오래되지 않고 신선한 것
③
발아력을 좋게 하려고 오래 저장한 것
④
충실하고 균일하며 이물질이 없는 것
정답 : ③ 발아력을 좋게 하려고 오래 저장한 것
13.
종자내의 바이러스 불활성을 위해 건열(乾熱)이 유효하다. 건열이 온도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①
20 ~ 30℃
②
40 ~ 50℃
③
60 ~ 80℃
④
90 ~ 100℃
정답 : ③ 60 ~ 80℃
14.
배젖종자는?
①
콩
②
유채
③
해바라기
④
밀
정답 : ④ 밀
15.
다음 중 이상적인 종자처리약제의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②
병균에 대해 효과적이어야 한다.
③
약제의 효과가 좋으면 인체에 해로워도 된다.
④
종자의 저장기간 중 비교적 오랫동안 약효가 지속되어야 한다.
정답 : ③ 약제의 효과가 좋으면 인체에 해로워도 된다.
16.
저장 중에 있는 종자를 가해하는 해충은?
①
쌀비구미
②
담배나방
③
벼물바구미
④
진딧물
정답 : ① 쌀비구미
17.
공기 조건이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발아 중에는 종자의 호흡이 크게 증가한다.
②
대부분 식물의 종자는 발아에 있어서 산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③
대부분 식물의 종자에서 질소가스는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친다.
④
대부분 식물의 종자에서 0.3% 이상의 이산화탄소는 발아에 유해하다.
정답 : ③ 대부분 식물의 종자에서 질소가스는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친다.
18.
완두 종자를 AㆍB 창고에 보관한 후 전기전도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A창고에 보관한 완 두 종자의 침출액이 더 많았다. 종자퇴화는 어느 것이 더 진전되었는가?
①
A창고 완두 종자가 더 퇴화되었다.
②
B창고 완두 종자가 더 퇴화되었다.
③
A창고와 B창고 완두 종자의 퇴화는 똑같다.
④
비교할 수 없다.
정답 : ① A창고 완두 종자가 더 퇴화되었다.
19.
다음 중 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는 주요 부위는?
①
씨껍질
②
내피
③
떡잎
④
씨젖
정답 : ① 씨껍질
20.
종자 건조제인 실리카겔은 상대습도가 몇 % 이상이 되면 청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는가?
①
15%
②
25%
③
35%
④
45%
정답 : ④ 45%
작물육종
21.
동질배수체 육종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염색체 수가 적은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②
배수체가 되면 임성이 높아지고 착과성이 좋아진다.
③
자식성 식물에서보다는 타식성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④
잎과줄기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정답 : ② 배수체가 되면 임성이 높아지고 착과성이 좋아진다.
22.
37. 순계분리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물은?
①
타식성 작물
②
자식성 작물
③
영년생 작물
④
영양번식 작물
정답 : ② 자식성 작물
23.
암술의 구성 기관이 아닌 것은?
①
꽃실
②
씨방
③
암술대
④
암술머리
정답 : ① 꽃실
24.
체세포분열 전기에 일어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방추사가 나타난다.
②
각 염색체는 2개의 염색분체로 되어진다.
③
전기가 끝날 때가 되면 인과 핵이 사라진다.
④
나선사가 꼬여짐으로 해서 염색체의 형태가 뚜렷이 보인다.
정답 : ① 방추사가 나타난다.
25.
일대잡종 종자 채종시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해서 상업적으로 종자를 얻는 대표적 작물은?
①
배추
②
토마토
③
고추
④
오이
정답 : ① 배추
26.
생물분류의 기본 단위로서 실제로 교배가 행해지고 있거나 잠재적으로 교배 가능한 자연집단으로 다른 생물군과 생리적으로 격리된 것을 가리키는 것은?
①
종
②
속
③
과
④
목
정답 : ① 종
27.
다음 중 유래에 의해 품종을 구분한 것은?
①
재래종과 육성종
②
재래종과 교잡종
③
육성종과 순계
④
재래종과 일대잡종
정답 : ① 재래종과 육성종
28.
세포질적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는 채종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제웅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②
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③
연속 여교잡에 의한 핵치환으로 세포질 인자만을 집어 넣은 불임계통을 만들 수 있다.
④
세포질적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므로 종자 채 종량이 많다.
정답 : ④ 세포질적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므로 종자 채 종량이 많다.
29.
자가불화합성의 기구(機構)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
②
꽃가루의 발아는 정상적이지만 꽃가루관의 신장이 저해되는 경우
③
꽃가루의 발아에서 수정까지는 되지만 그 후에 발육이 저해되는 경우
④
암술머리 위에서 꽃가루의 발아가 저해되는 경우
정답 : ①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
30.
다음 중 품종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
①
우수성
②
균일성
③
영속성
④
다양성
정답 : ④ 다양성
31.
개화기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①
파종기에 의한 조절
②
비배법
③
온실법
④
제웅법
정답 : ④ 제웅법
32.
품종 교체의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농업인구의 정체
②
재배 방식의 변화
③
병해충 발생의 증가
④
농업용 간척지의 개발
정답 : ① 농업인구의 정체
33.
배낭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배낭모세포는 성숙분열 후 4개의 세포가 되며, 이 중 3개는 퇴화한다.
②
배낭 속의 핵 수는 총 6개이다.
③
배낭 중앙에 2개의 극핵이 있다.
④
주공 근초에 1개의 난세포가 있다.
정답 : ② 배낭 속의 핵 수는 총 6개이다.
34.
농작물 품종의 특성 유지방법이 아닌 것은?
①
격리 재배
②
영양번식에 의한 보존 재배
③
원원종 재배
④
집단 재배
정답 : ④ 집단 재배
35.
다음 중 우량종자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①
활력이 높다.
②
병해충에 감염되지 않았다.
③
우수한 변이를 가지고 있다.
④
다른 품종의 종자가 섞이지 않았다.
정답 : ③ 우수한 변이를 가지고 있다.
36.
피자식물에서 배우자의 형성과정 중 배낭에 생기는 세포의 개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난세포 1개
②
조세포 2개
③
반족세포 3개
④
극핵 4개
정답 : ④ 극핵 4개
37.
다음 (가)~(다)에 해당하는 내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 기존에 존재해 있던 형질을 고정시킨 품종 (나) : 외국에서 새로운 형질을 들여 온 품종 (다) : 육종을 통해 새로운 형질을 나타내는 품종 |
①
재래품종 - 도입품종 - 육성품종
②
도입품종 - 육성품종 - 재래품종
③
육성품종 - 재래품종 - 도입품종
④
육성품종 - 도입품좀 - 재래품종
정답 : ① 재래품종 - 도입품종 - 육성품종
38.
유전 인자의 연관 관계가 상인(coupling)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단, B, L은 우성유전자, b, l은 열성 유전자이다.)
①
BB, LL
②
bb, ll
③
Bl, bL
④
BL, bl
정답 : ④ BL, bl
39.
일반적인 자연 환경에서 수박의 인공 교배에 가장 적당한 시간은?
①
오전 8시
②
오전 11시
③
오후 1시
④
오후 3시
정답 : ① 오전 8시
40.
반수체 식물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은?
①
생장점 배양
②
화분 배양
③
돌연변이
④
방사선 조사
정답 : ② 화분 배양
작물
41.
다음 중 토양 경운작업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물 빠짐과 공기 유통을 원활하게 한다.
②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③
잡초의 발생을 많게 한다.
④
토양을 부드럽게 한다.
정답 : ③ 잡초의 발생을 많게 한다.
42.
고랭지에서 생산한 씨감자를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①
수확기를 앞당기기 위해서
②
감자의 바이러스병을 방지하기 위해서
③
추위에 견디는 힘이 있기 때문에
④
감자의 꽃이 많이 피어 씨감자로 쓰기 위해서
정답 : ② 감자의 바이러스병을 방지하기 위해서
43.
다음 중 적산온도의 정의로 옳은 것은?
①
작물의 발아에서 출수까지의 월평균 기온을 합산한 온도
②
작물의 발아에서 출수까지의 일평균 최저기온을 합산한 온도
③
작물의 발아에서 성숙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합산한 온도
④
작물의 발아에서 성숙까지의 월평균 최고기온을 합산한 온도
정답 : ③ 작물의 발아에서 성숙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합산한 온도
44.
다음 중 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물의 광합성에 효과적인 빛은 청색과 적색이다.
②
눈은 겨울 작물에 토양 수분을 공급하여 가뭄해를 막는다.
③
풍속 3~4m/s의 바람은 증산 작용과 양분의 흡수를 촉진한다.
④
작물의 발아에서 성숙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합산한 것을 유효온도라 한다.
정답 : ④ 작물의 발아에서 성숙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합산한 것을 유효온도라 한다.
45.
벼 재배시 유수형성기에 주는 거름은?
①
밑거름
②
분멀거름
③
알거름
④
이삭거름
정답 : ④ 이삭거름
46.
벼의 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제현된 쌀을 정백이라 한다.
②
정백미는 현미 무게의 약 88%이다.
③
벼의 겉껍질을 벗겨 내는 것을 제현이라 한다.
④
제현율은 벼 무게의 64~74%이며 부피로는 45%이다.
정답 : ③ 벼의 겉껍질을 벗겨 내는 것을 제현이라 한다.
47.
사과에 발생하는 생리장해로 망간(Mn)의 과다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은?
①
고두병
②
적진병
③
축과병
④
신초 고사현상
정답 : ② 적진병
48.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재배 면적을 차지하는 작물은?
①
맥류
②
두류
③
벼
④
잡곡류
정답 : ③ 벼
49.
알뿌리 형태가 구슬줄기가 아닌 것은?
①
토란
②
생강
③
크로커스
④
시클라멘
정답 : ④ 시클라멘
50.
암발아 종자에 속하는 것은?
①
호박
②
담배
③
베고니아
④
상추
정답 : ① 호박
51.
다음 중 종자가 발아하는데 가장 필요한 환경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①
수분, 토양, 온도
②
수분, 온도, 산소
③
산소, 토양, 광선
④
광선, 온도, 산소
정답 : ② 수분, 온도, 산소
52.
다음 중 벼의 출수기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벼 전체의 꽃이 필 때
②
벼 전체의 70%가 이삭이 팬 날
③
논 1필지에서 40~50% 이삭이 팬 날
④
논 1필지에서 80% 이상 이삭이 팬 날
정답 : ③ 논 1필지에서 40~50% 이삭이 팬 날
53.
다음 중 잡초의 해가 아닌 것은?
①
양분, 수분, 광에 대하여 경합한다.
②
병해충을 매개하거나 월동 서식지가 된다.
③
작물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④
수량 손실 감소한다.
정답 : ④ 수량 손실 감소한다.
54.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①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②
살포전ㆍ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③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④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답 : ③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55.
재배 역사가 가장 오래된 작물은?
①
채소
②
과수
③
화훼
④
곡류
정답 : ④ 곡류
56.
작물의 온도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작물이 자랄 수 있는 범위의 온도를 유효 온도라 한다.
②
적산온도란 작물의 정식에서부터 개화까지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를 말한다.
③
겨울철에 작물의 조직이 얼어서 받는 피해를 동해라 한다.
④
여름작물의 경우 시기 여하에 불구하고 생육 적온 이하의 온도에 처할 때 생기는 장해를 냉해라 한다.
정답 : ② 적산온도란 작물의 정식에서부터 개화까지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를 말한다.
57.
생육 습성에 따른 목화의 종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육지면
②
적채면
③
아시아면
④
이집트면
정답 : ② 적채면
58.
다음 중 파종 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①
콩
②
완두
③
동부
④
강낭콩
정답 : ② 완두
59.
식용부위가 덩이뿌리인 작물은?
①
감자
②
고구마
③
옥수수
④
조
정답 : ② 고구마
60.
중세 유럽의 3포식 농업은 어떤 재배법에 속하는가?
①
이어짓기
②
돌려짓기
③
섞어짓기
④
사이짓기
정답 : ② 돌려짓기
기출문제닷컴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는 더 많은 자격증종목의 문제풀이 및 결과(채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