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닷컴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2022년 1회 공조냉동기계기사 (2022~) 기출문제 입니다.
오타 및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채점 및 결과 확인 기능은 블로그에서는 어려우니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문제풀이를 이용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
공조냉동기계기사 (2022~) 시험과목은 " 에너지관리, 공조냉동설계, 시운전 및 안전관리, 유지보수 공사관리 " 총 4 과목으로 되어 있으며 과목당 40점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아래 링크에서는 2022년 1회 공조냉동기계기사 (2022~) 기출문제 문제풀이 및 랜덤문제풀이를 직접 해볼수 있습니다.
2022년 1회 공조냉동기계기사 (2022~)
에너지관리
1.
다음 온열환경지표 중 복사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①
유효온도(ET)
②
수정유효온도(CET)
③
예상온열감(PMV)
④
작용온도(OT)
정답 : ① 유효온도(ET)
2.
주간 피크(peak)전력을 줄이기 위한 냉방시스템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터보냉동기 방식
②
수축열 방식
③
흡수식 냉동기 방식
④
빙축열 방식
정답 : ① 터보냉동기 방식
3.
실내 공기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유리면 등의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은 그 표면온도가 실내의 노점온도보다 높게 될 때이다.
②
실내 공기 온도가 높으면 절대습도가 높다.
③
실내 공기의 건구 온도가 그 공기의 노점 온도와의 차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작아진다.
④
건구온도가 낮은 공기일수록 많은 수증기를 함유할 수 있다.
정답 : ③ 실내 공기의 건구 온도가 그 공기의 노점 온도와의 차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작아진다.
4.
열교환기에서 냉수코일 입구 측의 공기와 물의 온도차가 16℃, 냉수코일 출구 측의 공기와 물이 온도차가 6℃이면 대수평균온도차(℃)는 얼마인가?
①
10.2
②
9.25
③
8.37
④
8.00
정답 : ① 10.2
5.
습공기를 단열 가습하는 경우 열수분비(u)는 얼마인가?
①
0
②
0.5
③
1
④
∞
정답 : ① 0
6.
습공기선도(t-x선도)상에서 알 수 없는 것은?
①
엔탈피
②
습구온도
③
풍속
④
상대습도
정답 : ③ 풍속
7.
다음 중 풍량조절 댐퍼의 설치위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곳은?
①
송풍기, 공조기의 토출측 및 흡입측
②
연소의 유려가 있는 부분의 외벽 개구부
③
분기덕트에서 풍량조정을 필요로 하는 곳
④
덕트계에서 분기하여 사용하는 곳
정답 : ② 연소의 유려가 있는 부분의 외벽 개구부
8.
수냉식 응축기에서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가 5℃, 냉각수량이 300 LPM인 경우 이 냉각수에서 1시간에 흡수하는 열량은 1시간당 LNG 몇 N·m3을 연소한 열량과 같은가? (단, 냉각수의 비열은 4.2 kJ/kg·℃, LNG 발열량은 43961.4 kJ/N·m3, 열손실은 무시한다.)
①
4.6
②
6.3
③
8.6
④
10.8
정답 : ③ 8.6
9.
덕트의 분기점에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댐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방화 댐퍼
②
스플릿 댐퍼
③
피봇 댐퍼
④
터닝 베인
정답 : ② 스플릿 댐퍼
10.
증기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환수방식에 따라 중력환수식과 진공환수식, 기계환수식으로 구분한다.
②
배관방법에 따라 단관식과 복관식이 있다.
③
예열시간이 길지만 열량 조절이 용이하다.
④
운전 시 중기 해머로 인한 소음을 일으키기 쉽다.
정답 : ③ 예열시간이 길지만 열량 조절이 용이하다.
11.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즉, 공기가 포화상태로 될 때의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건구온도
②
노점온도
③
습구온도
④
상당외기온도
정답 : ② 노점온도
12.
다음 중 일반 사무용 건물의 난방부하 계산 결과에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①
외기온도
②
벽체로부터의 손실열량
③
인체 부하
④
틈새바람 부하
정답 : ③ 인체 부하
13.
에어와셔 단열 가습시 포화효율(η)은 어떻게 표시하는가? (단, 입구공기의 건구온도 t1, 출구공기의 건구온도 t2, 입구공기의 습구온도 tw1, 출구공기의 습구온도 tw2 이다.)
①
②
③
④
정답 : ② 
14.
정방실에 35kW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정방기가 12대 있을 때 전력에 의한 취득열량(kW)은 얼마인가? (단, 전동기와 이것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가 같은 방에 있으며, 전동기의 가동율은 0.74 이고, 전동기 효율은 0.87, 전동기 부하율은 0.92 이다.)
①
483
②
420
③
357
④
329
정답 : ④ 329
15.
보일러의 시운전 보고서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제어기 세팅 값과 입/출수 조건 기록
②
입/출구 공기의 습구온도
③
연도 가스의 분석
④
성능과 효율 측정 값을 기록, 설계 값과 비교
정답 : ② 입/출구 공기의 습구온도
16.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자유면적 : 취출구 혹은 흡입구 구멍면적의 합계
②
도달거리 : 기류의 중심속도가 0.25m/s에 이르렀을 때, 취출구에서의 수평거리
③
유인비 : 전공기량에 대한 취출공기량(1차 공기)의 비
④
강하도 : 수평으로 취출된 기류가 일정거리만큼 진행한 뒤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수직거리
정답 : ③ 유인비 : 전공기량에 대한 취출공기량(1차 공기)의 비
17.
증기난방과 온수난방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주 이용열로 증기난방은 잠열이고, 온수난방은 현열이다.
②
증기난방에 비하여 온수난방은 방열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③
장거리 수송으로 증기난방은 발생증기압에 의하여, 온수난방은 자연순환력 또는 펌프 등의 기계력에 의한다.
④
온수난방에 비하여 증기난방은 예열부하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정답 : ④ 온수난방에 비하여 증기난방은 예열부하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18.
공기조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댐퍼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반 댐퍼(Volume Control Damper) : 공기 유량조절이나 차단용이며, 아연도금 철판이나 알루미늄 재료로 제작된다.
②
방화댐퍼(Fire Damper) : 방화벽을 관통하는 덕트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폐쇄되어 화염의 전파를 방지한다.
③
밸런싱 댐퍼(Balancing Damper) : 덕트의 여러 분기관에 설치되어 분기관의 풍량을 조절하며, 주로 T.A.B 시 사용된다.
④
정풍량 댐퍼(Linear Volume Control Damper) : 에너지절약을 위해 결정된 유량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며, 역류방지 기능이 있어 비싸다.
정답 : ④ 정풍량 댐퍼(Linear Volume Control Damper) : 에너지절약을 위해 결정된 유량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며, 역류방지 기능이 있어 비싸다.
19.
공기조화시 T.A.B 측정 절차 중 측정요건으로 틀린 것은?
①
시스템의 검토 공정이 완료되고 시스템 검토보고서가 완료되어야 한다.
②
설계도면 및 관련 자료를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보고서 양식에 장비규격 등의 기준이 완료되어야 한다.
③
댐퍼, 말단 유닛, 터미널의 개도는 완전 밀폐되어야 한다.
④
제작사의 공기조화시 시운전이 완료되어야 한다.
정답 : ③ 댐퍼, 말단 유닛, 터미널의 개도는 완전 밀폐되어야 한다.
20.
강제순환식 온수난방에서 개방형 팽창탱크를 설치하려고 할 때, 적당한 온수의 온도는?
①
100℃ 미만
②
130℃ 미만
③
150℃ 미만
④
170℃ 미만
정답 : ① 100℃ 미만
공조냉동설계
21.
부피가 0.4m3인 밀폐된 용기에 압력 3MPa, 온도 100℃의 이상기체가 들어있다. 기체의 정압비열 5 kJ/kg·K, 정적비열 3 kJ/kg·K 일 때 기체의 질량(kg)은 얼마인가?
①
1.2
②
1.6
③
2.4
④
2.7
정답 : ② 1.6
22.
온도 100℃, 압력 200kPa의 이상기체 0.4kg이 가역단열과정으로 압력이 100kPa로 변화하였다면, 기체가 한 일(kJ)은 얼마인가? (단, 기체 비열비 1.4, 정적비열 0.7 kJ/kg·K 이다.)
①
13.7
②
18.8
③
23.6
④
29.4
정답 : ② 18.8
23.
70kPa에서 어떤 기체의 체적이 12m3이었다. 이 기체를 800kPa 까지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압축했을 때 체적이 2m3으로 변화했다면, 이 기체의 폴리트로픽 지수는 약 얼마인가?
①
1.21
②
1.28
③
1.36
④
1.43
정답 : ③ 1.36
24.
공기 정압비열(CP, kJ/kg·℃)이 다음과 같을 때 공기 5kg을 0℃에서 100℃까지 일정한 압력하에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kJ)은 약 얼마인가? (단, 다음 식에서 t는 섭씨온도를 나타낸다.)
Cp = 1.0053 + 0.000079 × t [KJ/kg·℃ |
①
85.5
②
100.9
③
312.7
④
504.6
정답 : ④ 504.6
25.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의 순환 과정으로 옳은 것은?
①
증발기(냉각기)→흡수기→재생기→응축기
②
증발기(냉각기)→재생기→흡수기→응축기
③
흡수기→증발기(냉각기)→재생기→응축기
④
흡수기→재생기→증발기(냉각기)→응축기
정답 : ① 증발기(냉각기)→흡수기→재생기→응축기
26.
이상기체 1kg이 초기에 압력 2kPa, 부피 0.1m3를 차지하고 있다. 가역등온과정에 따라 부피가 0.3m3로 변화했을 때 기체가 한 일(J)은 얼마인가?
①
9540
②
2200
③
954
④
220
정답 : ④ 220
27.
증기터빈에서 질량유량이 1.5kg/s 이고, 열손실율이 8.5kW이다. 터빈으로 출입하는 수증기에 대하여 그림에 표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가 주어진다면 터빈의 출력(kW)은 약 얼마인가?
①
273.3
②
655.7
③
1357.2
④
2616.8
정답 : ② 655.7
28.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 47℃, 증발온도 –10℃이면 이론적인 최대 성적계수는 얼마인가?
①
0.21
②
3.45
③
4.61
④
5.36
정답 : ③ 4.61
29.
압축기의 체적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간극체적(top clearance)이 작을수록 체적효율은 작다.
②
같은 흡입압력, 같은 증기 과열도에서 압축비가 클수록 체적효율은 작다.
③
피스톤 링 및 흡입 밸브의 시트에서 누설이 작을수록 체적효율이 작다.
④
이론적 요구 압축동력과 실제 소요 압축동력의 비이다.
정답 : ② 같은 흡입압력, 같은 증기 과열도에서 압축비가 클수록 체적효율은 작다.
30.
냉동장치에서 플래쉬 가스의 발생원인으로 틀린 것은?
①
액관이 직사광선에 노출되었다
②
응축기의 냉각수 유량이 갑자기 많아졌다.
③
액관이 현저하게 입상하거나 지나치게 길다.
④
관의 지름이 작거나 관 내 스케일에 의해 관경이 작아졌다.
정답 : ② 응축기의 냉각수 유량이 갑자기 많아졌다.
31.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가용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용전의 용융온도는 일반적으로 75℃이하로 되어 있다.
②
가용전은 Sn, Cd, Bi 등의 합금이다.
③
온도상승에 따른 이상 고압으로부터 응축기 파손을 방지한다.
④
가용전의 구경은 안전밸브 최소구경의 1/2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 : ④ 가용전의 구경은 안전밸브 최소구경의 1/2 이하이어야 한다.
32.
흡수식 냉동기에 사용되는 흡수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냉매와 비등온도 차이가 작을 것
②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부식성이 없을 것
③
재생에 필요한 열량이 크지 않을 것
④
점성이 작을 것
정답 : ① 냉매와 비등온도 차이가 작을 것
33.
클리어런스 포켓이 설치된 압축기에서 클리어런스가 커질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②
피스톤의 체적 배출량이 감소한다.
③
체적효율이 저하한다.
④
실제 냉매 흡입량이 감소한다.
정답 : ② 피스톤의 체적 배출량이 감소한다.
34.
이상기체 1kg을 일정 체적 하에 20℃로부터 100℃로 가열하는데 836kJ의 열량이 소요되었다면 정압비열(kJ/kg·K)은 약 얼마인가? (단, 해당가스의 분자량은 2이다.)
①
2.09
②
6.27
③
10.5
④
14.6
정답 : ④ 14.6
35.
20℃의 물로부터 0℃의 얼음을 매 시간당 90kg을 만드는 냉동기의 냉동능력(kW)은 얼마인가? (단, 물의 비열 4.2kJ/kg·K, 물의 응고 잠열 335kJ/kg이다.)
①
7.8
②
8.0
③
9.2
④
10.5
정답 : ④ 10.5
36.
2차유체로 사용되는 브라인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비등점이 높고, 응고점이 낮을 것
②
점도가 낮을 것
③
부식성이 없을 것
④
열전달률이 작을 것
정답 : ④ 열전달률이 작을 것
37.
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기관의 실린더 내에서 1kg의 공기가 온도 120℃에서 열량 40kJ를 받아 등온팽창 한다면 엔트로피의 변화(kJ/kg·K)는 약 얼마인가?
①
0.102
②
0.132
③
0.162
④
0.192
정답 : ① 0.102
38.
표준냉동사이클의 단열 교축과정에서 입구 상태와 출구 상태의 엔탈피는 어떻게 되는가?
①
입구 상태가 크다.
②
출구 상태가 크다.
③
같다.
④
경우에 따라 다르다.
정답 : ③ 같다.
39.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형식에는 일반적으로 벨로즈식과 다이어프램식이 있다.
②
구조는 크게 감온부와 작동부로 구성된다.
③
만액식 증발기나 건식 증발기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④
증발기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냉매유량을 조절한다.
정답 : ④ 증발기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냉매유량을 조절한다.
40.
다음 중 검사질량의 가역 열전달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열전달량은
와 같다.
②
열전달량은
보다 크다.
③
열전달량은
와 같다.
④
열전달량은
보다 크다.
정답 : ③ 열전달량은
와 같다.
시운전 및 안전관리
41.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령에 따라 (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충전용기"란 고압가스의 충전질량 또는 충전압력의 (㉠)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용기를 말한다. "잔가스용기"란 고압가스의 충전질량 또는 충전압력의 (㉡)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의 용기를 말한다. |
①
㉠ 2분의 1 이상, ㉡ 2분의 1 미만
②
㉠ 2분의 1 초과, ㉡ 2분의 1 이하
③
㉠ 5분의 2 이상, ㉡ 5분의 2 미만
④
㉠ 5분의 2 초과, ㉡ 5분의 2 이하
정답 : ① ㉠ 2분의 1 이상, ㉡ 2분의 1 미만
42.
기계설비법령에 따라 기계설비 발전 기본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시행하여야 하는가?
①
1
②
2
③
3
④
5
정답 : ④ 5
43.
기계설비법령에 따라 기계설비 유지관리교육에 관한 업무를 위탁받아 시행하는 기관은?
①
한국기계설비건설협회
②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③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④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정답 : ②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44.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령에서 규정하는 냉동기 제조 등록을 해야 하는 냉동기의 기준은 얼마인가?
①
냉동능력 3톤 이상인 냉동기
②
냉동능력 5톤 이상인 냉동기
③
냉동능력 8톤 이상인 냉동기
④
냉동능력 10톤 이상인 냉동기
정답 : ① 냉동능력 3톤 이상인 냉동기
45.
다음 중 고압가스 안전관리법령에 따라 500만원 이하의 벌금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는?
㉠ 고압가스를 제조하려는 자가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고압가스를 제조한 경우 ㉡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자가 특정고압가스의 사용 전에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 ㉢ 고압가스의 수입을 업(業)으로 하려는 자가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고압가스 수입업을 한 경우 ㉣ 고압가스를 운반하려는 자가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고압가스를 운반한 경우 |
①
㉠
②
㉠, ㉡
③
㉠, ㉡, ㉢
④
㉠, ㉡, ㉢, ㉣
정답 : ② ㉠, ㉡
46.
전류의 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①
배율기
②
분류기
③
저항기
④
계기용변압기
정답 : ② 분류기
47.
절연저항 측정 시 가장 적당한 방법은?
①
메거에 의한 방법
②
전압, 전류계에 의한 방법
③
전위차계에 의한 방법
④
더블브리지에 의한 방법
정답 : ① 메거에 의한 방법
48.
저항 100Ω의 전열기에 5A의 전류를 흘렀을 때 소비되는 전력은 몇 W 인가?
①
500
②
1000
③
1500
④
2500
정답 : ④ 2500
49.
유도전동기에서 슬립이 “0”이라고 하는 것은?
①
유도전동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②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③
유도전동기가 동기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이다.
④
유도전동기가 제동기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정답 : ③ 유도전동기가 동기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이다.
50.
논리식 중 동일한 값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③ 
51.
it = Im sinwt 인 정현파 교류가 있다. 이 전류보다 90° 앞선 전류를 표시하는 식은?
①
Im coswt
②
Im sinwt
③
Im cos(wt+90°)
④
Im sin(wt-90°)
정답 : ① Im coswt
52.
i = Im1 sinwt + Im2 sin(2wt+θ)의 실효값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② 
53.
그림과 같은 브리지 정류회로는 어느 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하여야 하는가?
①
A-B점
②
A-C점
③
B-C점
④
B-D점
정답 : ④ B-D점
54.
추종제어에 속하지 않는 제어량은?
①
위치
②
방위
③
자세
④
유량
정답 : ④ 유량
55.
직류·교류 양용에 만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기는?
①
직권 정류자 전동기
②
직류 복권 전동기
③
유도 전동기
④
동기 전동기
정답 : ① 직권 정류자 전동기
56.
배율기의 저항이 50kΩ, 전압계의 내부 저항이 25kΩ이다. 전압계가 100v를 지시하였을 때, 측정한 전압(V)은?
①
10
②
50
③
100
④
300
정답 : ④ 300
57.
아래 그림의 논리회로와 같은 진리값을 NAND소자만으로 구성하여 나타내려면 NAND소자는 최소 몇 개가 필요한가?
①
1
②
2
③
3
④
5
정답 : ② 2
58.
궤환제어계에 속하지 않는 신호로서 외부에서 제어량이 그 값에 맞도록 제어계에 주어지는 신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목표값
②
기준 압력
③
동작 신호
④
궤환 신호
정답 : ① 목표값
59.
그림과 같은 전자릴레이회로는 어떤 게이트 회로인가?
①
OR
②
AND
③
NOR
④
NOT
정답 : ④ NOT
60.
제어량에 따른 분류 중 프로세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압력
②
유량
③
온도
④
속도
정답 : ④ 속도
유지보수 공사관리
61.
급수배관 시공 시 수격작용의 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플래쉬 밸브 또는 급속 개폐식 수전을 사용한다.
②
관 지름은 유속이 2.0~2.5m/s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③
역류 방지를 위하여 체크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④
급수관에서 분기할 때에는 T 이음을 사용한다.
정답 : ① 플래쉬 밸브 또는 급속 개폐식 수전을 사용한다.
62.
다음 중 사용압력이 가장 높은 동관은?
①
L관
②
M관
③
K관
④
N관
정답 : ③ K관
63.
공조설비 중 덕트설계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덕트 내 정압손실을 적게 설계할 것
②
덕트의 경로는 가능한 최장거리로 할 것
③
소음 및 진동이 적게 설계할 것
④
건물의 구조에 맞드록 설계할 것
정답 : ② 덕트의 경로는 가능한 최장거리로 할 것
64.
가스배관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건물 내 배관은 안전을 고려, 벽, 바닥 등에 매설하여 시공한다.
②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는 부분의 배관에는 보호관 및 부식방지 피복을 한다.
③
배관의 경로와 위치는 장래의 계획, 다른 설비와의 조화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④
부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배관하는 경우에는 방식, 절연조치를 한다.
정답 : ① 건물 내 배관은 안전을 고려, 벽, 바닥 등에 매설하여 시공한다.
65.
증기배관 중 냉각 레그(cooling leg)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완전한 응축수를 회수하기 위함이다.
②
고온증기의 동파 방지시설이다.
③
열전도 차단을 위한 보온단열 구간이다.
④
익스팬션 조인트이다.
정답 : ① 완전한 응축수를 회수하기 위함이다.
66.
보온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표면시공이 좋아야 한다.
②
재질자체의 모세관 현상이 커야 한다.
③
보냉 효율이 좋아야 한다.
④
난연성이나 불연성이어야 한다.
정답 : ② 재질자체의 모세관 현상이 커야 한다.
67.
신축 이음쇠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벨로즈형
②
플랜지형
③
루프형
④
슬리브형
정답 : ② 플랜지형
68.
고압 증기관에서 권장하는 유속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5~10m/s
②
15~20m/s
③
30~50m/s
④
60~70m/s
정답 : ③ 30~50m/s
69.
증기난방의 환수방법 중 증기의 순환이 가장 빠르며 방열기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규모 난방에 주로 채택되는 방식은?
①
단관식 상향 증기 난방법
②
단관식 하향 증기 난방법
③
진공환수식 증기 난방법
④
기계환수식 증기 난방법
정답 : ③ 진공환수식 증기 난방법
70.
온수난방 배관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온수 방열기마다 반드시 수동식 에어벤트를 부착한다.
②
배관 중 공기가 고일 우려가 있는 곳에는 에어벤트를 설치한다.
③
수리나 난방 휴지시의 배수를 위한 드레인 밸브를 설치한다.
④
보일러에서 팽창탱크에 이르는 팽창관에는 밸브를 2개 이상 부착한다.
정답 : ④ 보일러에서 팽창탱크에 이르는 팽창관에는 밸브를 2개 이상 부착한다.
71.
강관에서 호칭관경의 연결로 틀린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 ① 
72.
펌프주위 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펌프의 흡입측에는 압력계를, 토출측에는 진공계(연성계)를 설치한다.
②
흡입관이나 토출관에는 펌프의 진동이나 관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을 한다.
③
흡입관의 수평배관은 펌프를 향해 1/50~1/100의 올림구배를 준다.
④
토출관의 게이트밸브 설치높이는 1.3m 이상으로 하고 바로 위에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정답 : ② 흡입관이나 토출관에는 펌프의 진동이나 관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을 한다.③ 흡입관의 수평배관은 펌프를 향해 1/50~1/100의 올림구배를 준다.
73.
중·고압 가스배관의 유량(Q)을 구하는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P1 : 처음압력, P2 : 최종압력, d : 관 내경, l : 관 길이, s : 가스비중, K : 유량계수 이다.)
①
②
③
④
정답 : ③ 
74.
보온재의 열전도율이 작아지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①
재료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②
재질 내 수분이 작을수록
③
재료의 밀도가 클 수록
④
재료의 온도가 낮을수록
정답 : ③ 재료의 밀도가 클 수록
75.
다음 중 증기사용 간접가열식 온수공급 탱크의 가열관으로 가장 적절한 관은?
①
납관
②
주철관
③
동관
④
도관
정답 : ③ 동관
76.
펌프의 양수량이 60m3/min이고 전양정이 20m일 때, 벌류트 펌프로 구동할 경우 필요한 동력(kW)은 얼마인가? (단, 물의 비중량은 9800 N/m3이고, 펌프의 효율은 60%로 한다.)
①
196.1
②
200.2
③
326.7
④
405.8
정답 : ③ 326.7
77.
다음 중 주철관 이음에 해당되는 것은?
①
납땜 이음
②
열간 이음
③
타이튼 이음
④
플라스턴 이음
정답 : ③ 타이튼 이음
78.
전기가 정전되어도 계속하여 급수를 할 수 있으며 급수오염 가능성이 적은 급수방식은?
①
압력탱크 방식
②
수도직결 방식
③
부스터 방식
④
고가탱크 방식
정답 : ② 수도직결 방식
79.
도사가스의 공급설비 중 가스 홀더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유수식
②
중수식
③
무수식
④
고압식
정답 : ② 중수식
80.
강관의 두께를 선정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①
곡률반경
②
내경
③
외경
④
스케줄번호
정답 : ④ 스케줄번호
기출문제닷컴 홈페이지(http://testq.co.kr/)에서 는 더 많은 자격증종목의 문제풀이 및 결과(채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